내재적발전론의 의미,발전방안,한계점,의의
- 최초 등록일
- 2013.06.06
- 최종 저작일
- 2011.10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내재적 발전론의 등장배경과 전개
1-1. 내재적 발전론의 등장배경, 정의
1-2. 내재적 발전론의 전개
2. 내재적 발전론의 주장이론
2-1. 경제적 근거
-농민층 분화(경영형부농의 등장)
-상품 화폐경제 발달(사상의 대두)
-장시발달
-민영광산의 발달(덕대(전문경영인)의 등장)
-광무개혁
2-2. 사회적 근거
2-3. 학문적 근거
3. 내재적 발전론의 전망과 식민지 수탈론과의 대립
4.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의의와 한계
5. 결론 및 나의 의견
본문내용
1. 내재적 발전론의 등장배경과 전개
정의 : 내재적 발전론이란 한국이 일제의 식민지로 병탄되기 전에 이미 자주적 근대화가 이루어져 가고 있었다는 이론으로서, 식민지 수탈론과 함께 식민지 근대화론과 대조되는 이론이다. 즉, 조선사회가 내적인 힘에 의하여 근대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부분적으로 성취하고 있었으며, 제국주의의 침략이 그러한 발전추세를 왜곡, 억압하였다고 보는 이론이다.
자본주의 맹아론
정의 : 자본주의 맹아론은 내재적 발전론을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조선이 개화기 때 외세와의 불평등 조약에 의해 세계자본주의 체제로 편입되기 전에 이미 숙종 때부터 상평통보가 점차 보편화되며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해감에 따라 자본주의가 스스로 형성되어 가고 있었다는 이론이다.
1-1. 내재적 발전론의 등장배경
근대국가 수립 과정에서 제국주의로 발 돋음한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은 수천 년의 정체된 체제를 유지함으로써 자주적 근대화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식민지의 길을 통해 근대화해야 한다는 것이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의 아시아 인식이었다. 일본은 제국주의국가로써 한국을 병합하여 식민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한국의 후진성과 정체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었으며 그러한 한국의 후진성과 정체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역사인식인 식민주의사관이 대두되었다.
식민주의사관은 허구에 기초한 허황된 논리와 함께 구체적 역사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한마디로 요약하기는 쉽지 않지만, 대체로 한국사를 타율성과 정체성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로 규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사를 타율성으로 보는 관점은 한국인이 한국역사의 주인공, 역사발전의 주체로 등장하지 못하고 인접한 외세의 영향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역사인식을 말한다. 일본과 한국의 조상이 동일하다는 일선동조론, 지정학적으로 반도에 위치하여 대륙과 해양의 지배를 피하지 못한다는 반도적성격론, 고대 한반도 남부에 일본의 식민통치기관이 있었다는 임나일본부설 등의 한국사의 열등함을 강조하는 여러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