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요약과 서평
1. 존 칼빈과 장로교 정치
2. 존 낙스와 장로교 정치
3. 영국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장로교 정치
Ⅲ. 결론
본문내용
한국에 장로교가 들어온 지 어느덧 100년이 넘어가고 있다. 이 척박한 한국 땅에 올바른 성경적 세계관인 칼빈주의, 개혁주의 세계관 즉 성경 중심적(sola scriptura)사상이 자리 잡게 된 것은 장로교가 큰 역할을 감당했기 때문이다.
수많은 선교사들의 땀과 노력의 결실로 한국교회는 엄청난 부흥을 경험하였고, 부흥한 교회들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 시대에 들어와 교회의 타락, 목회자들의 도덕적 자질문제 등을 거론하며 교회를 핍박하는 수많은 여론이 있지만, 그리하여도 여전히 세상 가운데 소망이 있는 곳은 교회뿐이라는 것이다.
<중 략>
1537년과 1541년 ‘제네바교회 규정서’ 비교 : 칼빈은 1541년에 1537년의 규정서보다 더 발전된 ‘제네바교회 규정서’를 시의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았다. 1537년 규정서에서 칼빈은 권징의 시행, 시편찬송의 사용, 자녀 교육 그리고 결혼법 개정에 대하여 언급한다. 1541년 규정서는 목사, 교사, 장로, 집사의 직무를 명확하게 구분한다. 특히 목사는 장로의 직무를 공유할 수 있으나 자로는 목사의 직무를 공유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2. 존 낙스와 장로교 정치
존낙스와 장로교 정치제도
대륙의 종교 개혁자 마틴 부셔가 장로교 제도의 기초를 놓았다면 존 칼빈은 장로교 제도의 이론을 체계화시켰고
<중 략>
장로교정치의 근본 원리는 성경이 분명히 가르치는 본질적인 것이다. 즉 장로교 정치는 근본 윈리에 있어서 신적제정인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그것은 단순히 성경에 일치하는 교회 정치의 한 형태라는 것이 아니라 성경에 의해서 요구를 받고 있는 정치 형태라는 것이다. 김득룡, “장로교회정치사상연구” 신학지남, (서울: 신학지남사, 1981), 95.
이러한 장로교 정치의 중심 신학은 칼빈을 중심으로 한 개혁교회의 신학사상을 말한다. 이 신학사상은 하나님의 주권, 하나님의 법, 하나님의 언약사상이며, 이는 성경에 나타난 교리에 입각한 것이다.
세상에는 완벽한 정치는 없다. 마찬가지로 교회정치도 완벽할 수는 없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