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본론
1) 청소년 미혼모의 개념
2) 청소년 미혼모의 실태와 문제
3)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발전방안
(1) 학교 차원
예방적 접근
해결적 접근
(2) 지역사회 차원
예방적 접근
해결적 접근
(3) 국가적 차원
예방적 접근
해결적 접근
4)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실천사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총인구 중 청소년 인구 비중은 20.4%로, 과거에 비해서 그 수가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그들은 우리 사회의 한 구성원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1장 제1조 제2절은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청소년은 그 국민의 1/5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의 주인이다. 이들은 자라나 사회를 이끌어갈 사회의 큰 자산이며 미래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귀중한 자원들은 어떻게 병들어 가고 있을까?
어느 시대나 청소년들은 역사의 가장 큰 희생양이 되거나 사회악에 가장 쉽게 노출되는 등 사회적 약자로써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시대에 흐름에 따라 내용은 조금씩 바뀌어왔지만, 청소년의 비행도 언제나 사회 문제로써 존재해왔던 부분이다.
<중 략>
그 상황을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대책과 노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는 것을 알았다. 소수의 사람들만이 노력을 통해 이들을 보호하고자 노력하지만 정작 지역사회와 정부차원의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고 끊임없이 부정적인 상황이 되풀이 될 뿐이었다.
학업이 중단된 청소년 미혼모 경우,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복지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세밀한 실태조사와 사례관리를 통해 체계적인 대안 프로그램 마련이 매우 시급하다. 우리나라에서 청소년 미혼모와 이에 대한 복지정책이 전무한 실태는 국가의 큰 자원인 미혼모 본인과 미혼모의 자녀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적 측면에서 염려되어 지는 부분이 많고, 교육적 측면에서도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 자의적 타의적으로 중단되어지게 되므로 결국 국가적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시각으로 본다면, 미혼모들이 자립하지 못하면 결국 그 자녀들까지 어렵게 살 수 밖에 없고 이는 곧 미래의 빈곤으로 연결될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사회는 이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부가적으로 감당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1차적 문제가 2차, 3차적인 문제를 만들고 사회가 부담해야할 부분을 증가될 수밖에 없다.
참고자료
· 사이버 경찰청 - 정보마당 경찰통계 中 미성년 범죄통계자료
· 한국의 청소년 비행 - 이동원 한국화술정보 KSI
· 가출청소년 이해와 지원 프로그램 - 김향초 학지사
· 교육과학기술부 하반기 정책연구 2008-2 학생미혼모 실태조사 연구
· 뉴스 와이어 - 10대 미혼모 관련보도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566777
· 헤럴드경제 - 미혼모 관련보도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20904000104&md=20120907003816_D
· 중앙일보 - 미혼모 관련보도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241286
· 조선일보 - 미혼모 관련보도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8/03/2010080300899.html
· 중앙일보 - 애란원 인터뷰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073457&cloc=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