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희귀한 자료이니 많이 참조하세여
목차
들어가며
Ⅰ. 20c에 일어난 모더니즘
1. 모더니즘의 발생 배경
2. 모더니즘의 특징
3. 모더니즘의 부정적 측면
Ⅱ. 건축에서의 모더니즘 전개
1. 19c 전개양상
2. 20c 전개양상
Ⅲ. 아방가르드와 러시아 구성주의
1. 아방가르드 개념
2. 구성주의의 영향
3. 구성주의 역사와 개념
4. 구성주의의 형태 분석
Ⅳ. 러시아의 구성주의 건축가와 주요 작품
1. 말레비치(Kasimar Mileich, 1878-1935년)
2. 타틀린(Valdmir Tatlin, 1885-1953년)
3. 베스닌형제(Victor & Leonid Vesnin)
4. 엘 리시츠키(El Lissitzky, 1890-1941년)
Ⅴ. 맺음말
Ⅵ.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러시아는 20세기 처음 25년 동안 정치, 사회적으로 중요한 격변을 겪었고 시각 예술분야에서도 거기에 상응하는 혁명이 일어났다. 전체적으로 새로운 미학체계를 열망하여 사회 전면에 부상한 아방가르드는 미술과 관련된 전통적인 개념 즉. 주제문제, 실물유사성, 환영주의적 원근법의 공간과 반대되는 다양한 조형적 탐구를 전개했다. 그 결과 오랫동안 확립되었던 예술작품의 정의가 심각하게 도전 받았고 관습적인 회화, 조각, 건축의 경계가 무너지게 되었다. 이 시기동안 러시아 아방가르드들은 형태, 색채. 빛, 재료, 질감, 구성 그리고 운동의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냈고 이런 탐구는 미술운동의 형태로 나왔다. 신 원시주의, 광선주의, 입체-미래주의, 절대주의, 구성주의로 이어지는 아방가르드의 전개는 그렇지만 결코 하나에서 다른 것으로 직접 연결되는 직선적인 사상이나 양식의 연속체로 볼 수 없다. 그 이유는 구성원들이 밀접한 상호작용을 주고받는 복합적인 성격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그들이 지닌 정신적, 철학적인 강조점에 따라 작품의 형식적 특징은 다양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러시아 아방가르드는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의 경험을 거치면서 관련되는 서구 미술사의 문맥을 벗어나 꽤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다.
참고 자료
「하늘아래 도시, 땅위의 건축」, 김정동, 가람기획, 1998
「20세기 건축의 경향들」, 우도쿨터만 지음, 이선구 옮김, 발언출판사, 1998
「문예사조사」, 민음사, 이선영, 1994
「천년의 도시 천년의 건축」, 김석철, 해냄 출판사, 1997
「근대 건축의 역사」, 윤재희, 지연순 편저, 세진사, 1996
「미술 디자인 건축에서의 모더니즘의 전개」, 로우랜드 커트 지음, 민 경우 옮김, 학문사, 1996
「구성주의 건축」, 윤재희, 지연순 편저, 세진사, 1995
http://www.gwangju-biennale.org/last-biennale/2000/korean/bien95/spacial/95-ma-4-6-1.htm
http://zaigen.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4d3926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