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중독의 이해와 목회상담적 접근
- 최초 등록일
- 2013.05.14
- 최종 저작일
- 2012.05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성 중독의 이해
2.1 성 중독에 대한 정의
2.2 중독 행동으로서의 성행동
2.3 성 중독의 특징
2.4 성도착증
3. 성 중독의 치료
3.1 성 중독의 임상적 평가
3.2 성 중독 치료의 단계
3.3 성 중독 치료 이전에 고려되어야 할 문제
4. 성 중독에 대한 목회상담적 접근
4.1 성 중독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
4.2 성 중독 치유를 위한 기독교적 가치
4.3 성 중독 치유에 대한 목회상담적 방안
5. 나가는 말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오늘날 우리 사회는 성(性) 권하는 사회이다. IT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SNS, 스마트 폰 등 각종 새로운 매체의 출현으로 성은 접근성에 있어 과거 그 어느 때보다 용이해지게 되었다. 이제 성은 시간, 장소, 대상을 불문하고 노출되어 있으며 성적 중독은 포스트모던 사회의 절대적 가치 붕괴와 도덕적 해이로 말미암아 공공연히 조장되고 방조되고 있다. 성은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감각적이고 정서적이고 영적인 행위이다. 인간의 성은 단순히 종족번식이나 쾌락의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결속되고자 하는 인간 본연의 깊은 필요이다. 따라서 성 중독은 성 자체의 특수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중독 문제 중에서도 가장 은밀한 양상을 나타내며 수치심과 죄책감의 고통이 가장 크게 뒤따르는 중독이라고 볼 수 있다.
<중 략>
10. 자신의 성적 행위 대문에 도움을 구한 적이 있는가?
11. 자신의 성적 활동이 들키지 않을까 염려한 적이 있는가?
12. 다신의 성적 행위 때문에 정서적인 상처를 받은 사람이 있는가?
13. 당신의 성적 행위가 법에 위배된 적이 있는가?
14. 특정 성적 행위를 중단하겠다고 스스로 다짐한 적이 있는가?
15. 특정 성적 행위를 중단하려고 애썼지만 실패한 적이 있는가?
16. 자신의 어떤 성적 행위를 타인에게 숨겨야 하는가?
17. 자신의 성적 행위 중 어떤 부분을 중단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는가?
18. 자신의 성적 행위 때문에 자기 자신이 보잘것없다고 느낀 적이 있는가?
19. 성이 자신의 문제에서 도피하기 위한 방편이었는가?
20. 섹스를 하고 나면 우울감을 느끼는가?
21. 특정 성적 행위를 계속하면 안 된다고 느낀 적이 있는가?
22. 당신의 성이 가족생활을 방해해 왔는가?
23. 미성년자에게 성적으로 대한 적이 있는가?
24. 성적 욕구가 자신을 지배하고 있다고 느끼는가?
25. 성적 욕구가 자신보다 더 강하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가?
참고 자료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3.
레이저, 마크. 「아무도 말하지 않는 罪」. 정성준 역. 경기: 예수전도단, 2009.
루이스, C. S.「순전한 기독교」. 장경철?이종태 역. 서울: 홍성사, 2001.
메이, 제랄드. 「중독과 은혜」. 이지영 역. 서울: IVP, 2002.
벨, 랍. 「성, 영성, 결혼을 말하다」. 홍종락 역. 서울: 두란노, 2008.
신성만, 박상규, 강성군, 김교헌, 서경현, 이형초, 전영민.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 서울: 학 지사, 2009.
아놀드, 요한 크리스토프. 「아름다운 약속 순결」. 최재훈 역. 서울: 쉴터, 2002.
하트, 아치볼드. 「참을 수 없는 중독」. 온누리 회복사역본부 역. 서울: 두란노, 2005.
박현자. “성중독에 대한 영적 치유 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