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송대 국문학연습 과제로 만점을 받았던 레포트입니다.
북한 문학사의 3대 흐름과 각 시기별 장화홍련전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목록이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조선문학통사』
2.『조선문학사』Ⅰ(전5권, 1977~1981)
3.『조선문학사』Ⅱ(전15권, 1991~2000)
4.『장화 홍련전』에 대한 북한에서의 가치평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차를 살펴보면 시대구분이 불철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문학 중심의 문학사로, 그 이전까지의 구분은 그저 세기별로 나누고 있을 뿐이다. 상권은 제1장 원시~7세기 전반기까지의 문학, 제2장 7세기 후반기~9세기 문학 등 단순하게 세기별로 구분되어 있고, 1900년부터 전후시기까지의 문학을 다루고 있는 하권도 1945년까지의 시기를 1919년까지를 제1장, 1930년까지를 2장, 1945년를 3장으로 연도별로만 나누어 놓고, 제4장부터 비로소 문학 정치적 사회적 전변의 계기로 분기를 삼아 기술하고 있다. 현대에 대해 분명히 명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대체로 사회 경제 구성상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1945년을 현대의 기점으로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제로부터 조선인민의 해방과 김일성 동지를 수반으로 하는 조선로동당의 창건은 다만 우리 인민들의 생활과 장래 운명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또한 우리나라 문학 발전에 있어서도 획기적인 단계를 열어놓았다.>
본문은 고전 문학의 경우 한문문학에 대한 논의 없이 국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기록문화를 토대로 하여 시가와 산문의 2분법으로 장르를 나누어 기술하고 현대 쪽으로 오면 당의 정책을 먼저 제시하고 문학을 장르별로 구분하여 평론과 희곡 등을 추가시킨다. 예를 들어 해방 이후의 문학을 다룬 제 4장 ‘해방 후의 문학-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의 문학’을 살펴보면 첫머리에 정치사에 대한 언급 기술하고 난 뒤 문학에 대한 당과 김일성의 지도성을 강조하고 주제론적 측면에서 이 시기의 전체적 맥락을 조감하면서 작품론을 위치시키고 있다. 문학은 공산주의 사상을 교양하는 인민의 문학이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시종일관 소련과 당의 역할을 강조하고 일체의 부르죠아 문학 반대, 사회주의 사실주의 문학의 고수, 사회주의 사실주의 문학 창작 방법에 대한 이론적 연구 등의 의의를 강조 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사회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문학연구실,『조선문학통사』(상)(1959), 인동, 1988
사회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문학연구실,『조선문학통사』(하.현대편)(1959), 인동, 1988
사회과학원『조선문학사』(고대,중세편)』, 1977,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박종원, 류만 외, 『조선문학사』1~5, 1999, 여락, 1977~1981
정홍교, 『조선문학사1』,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1
김하명, 『조선문학사5』,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4
류만, 리동수, 『조선문학사7』,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0
류만, 『조선문학사9』,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5
김정우, 천재규, 『조선문학사15』,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5
박태상,『북한 문학의 사적 탐구』, 2006, 깊은샘
박태상,「새로 발견된 북한 서정시 선집 연구: 월북 시인들의 동향과 당대 사회현실을 중심으로」, 2000, 북한연구학회
박은경,「남북한 국문학사 비교연구-한국문학통사와 조선문학사를 중심으로」, 1995, 홍익대학교
김현종,「북한문학 연구서설」, 1999, 대전대학교
전월매,「한국현대문학사의 시대구분 연구: 남한과 북, 중국 조선족 문학사를 중심으로」, 2005, 호서대학교
양영길, 「『조선문학통사』의 한국 근대문학사 인식 방법」『영주어문 제7집』, 2004, 영주어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