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urpose
2. Introduction
3. 새우(Shrimp)
4. Materials
5. 해부시 주의사항
6. 실험 과정
7. Discusstion
본문내용
Purpose
본 실험에서는 동물계 연체동물문과 절지동물문 갑각류생물군을 이해하기 위한 해부실험을 진행한다.
연체동물문 이매패류(대합)와 절지동물 갑각류(새우)를 해부하고 각 기관의 구조와 명칭을 익힌다.
Introduction
연체동물(Mollusca)은 라틴어 molluscus(부드러운)에서 유래한다. 동물계에서 절지동물문 다음으로 많은 종을 포함하는 동물문으로 11만 2000여종의 현생종과 35,000의 화석종이 기록되어 있다. 화석종은 선캄브리아기 이래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암모나이트는 1만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현생 연체동물은 대부분 소형종이나 대서양 심해의 대왕오징어(Architeuthis harveyi)는 촉완까지의 총 길이가 15m 이상이다.
서식지 : 바다에 가장 많은 수가 서식하고 있으나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기수지역에도 분포한다. 또한 말조개나 우렁이 같은 이매패류와 복족류의 일부 종의 경우 민물에서도 서식하며 복족류인 달팽이류는 육상에까지 진출하였다. 온도에 따른 서식범위도 다양하여 열대지역부터 극지방까지 고루 분포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