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과 산업기술정책, 산업기술과 산업기술연구, 산업기술과 산업기술개발, 산업기술과 산업기술하부구조, 산업기술과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산업기술과 산업기술인력,산업과학기술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4.26
- 최종 저작일
- 2013.04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산업기술과 산업기술정책
Ⅲ. 산업기술과 산업기술연구
Ⅳ. 산업기술과 산업기술개발
1. 산업기반기술개발사업
2. 청정생산기술사업
Ⅴ. 산업기술과 산업기술하부구조
Ⅵ. 산업기술과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Ⅶ. 산업기술과 산업기술인력
1. 양적?질적 미스매치(mismatch) 심화
2. 우수 청소년의 이공계 진학기피와 공학교육의 실패
1) 주력기간산업 관련학과에 대한 우수인력의 진학 기피
2) 산업수요와 괴리된 대학의 공학교육으로 엔지니어의 품질 저하
3. 중장기 산업기술인력 수급 전망
1) 종래 전문기관들은 향후 산업기술인력의 과잉공급을 예상
2) 그러나 최근의 이공계 기피현상을 감안하여 업종별 기술인력 수급전망을 실시한 결과, 상반된 결과 도출
Ⅷ. 산업기술과 산업과학기술
Ⅸ.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21세기 세계경제는 산업구조측면에서 컴퓨터, 전자, 항공우주산업과 같은 첨단기술산업과 교육, 정보?통신산업과 같은 지식집약서비스의 비중이 증대하고 산업의 고부가가치화가 추구됨으로써 기술 지식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되는 지식기반경제(knowledge based economy)로 될 것이다(OECD, 1996).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경제활동의 세계화는 상품수요의 다양화를 촉진시키고 상품의 수명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이전보다 새로운 기술 지식을 활용하여 더 신속한 고부가가치의 창출이 요구될 것이다(차철호, 1995).
또한 WTO(세계무역기구)의 출범과 함께 세계경제는 상호이익을 위해 국경을 허물고 있다
<중 략>
□ 산업기술하부구조 강화의 필요성
ㅇ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증대를 위해서는 모든 산업기술력의 기초가 되는 표준과 측정, 시험ㆍ검사, 인증 등 적합성평가의 Up-Grade가 우선되어야 함
- 표준의 Up-Grade와 표준화활동의 강화를 통해 개발된 신기술ㆍ신제품의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
- 측정 및 시험ㆍ검사능력이 향상되어야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이 가능
- 인증기반을 강화함으로써 인증제도를 무역상기술장벽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선진국 전략에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
- PL법의 시행에 따른 초기단계의 예상되는 분쟁해소를 위해서도 하부구조의 기반확립이 긴요
<중 략>
경로와 관련된 부문은 장점과 단점이 혼재한다. 한국의 장점은 21세기 주도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IT 부문에서 상당한 산업기반과 기술축적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인터넷 관련 정보통신이나 이동통신부문의 기술수준은 높게 평가되고 있다. 미래에 적절한 경로 선택 능력과 관련해서 제기할 수 있는 문제로는 기술기획이 지나치게 중앙집중형인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출연연구기관이 등 공공연구기관이 위탁과제 수행기관으로 전락하여, 공공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못하고 있다. 기술의 미분화와 융합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성공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기획의 분권화가 필요하다
참고 자료
김병진, 산업기술연구조합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1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국 산업기술정책과,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운영요령, 한국개발연구원, 2002
전형중 외 3명, 지역의 산업기술인력 공급구조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009
전종순, 산업기술개발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2005
장효성 외 1명, 산업기술정책의 정부개입 정당성과 정부의 역할 변화, 한국과학기술학회, 2009
조양구, 반도체 산업기술 하부구조 국제 비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