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탈냉전][냉전체제][탈냉전기][냉전 의미][냉전 성격][냉전 기원][냉전 형성]냉전의 의미, 냉전의 성격, 냉전의 기원, 냉전의 형성 분석(냉전, 탈냉전, 냉전체제)
- 최초 등록일
- 2013.04.26
- 최종 저작일
- 2013.04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냉전의 의미
Ⅲ. 냉전의 성격
Ⅳ. 냉전의 기원
1. 전통주의적 관점
2. 수정주의적 관점
3. 탈수정주의적 관점
Ⅴ. 냉전의 형성
1. 트루먼 독트린(Truman Doctrine) : 1947년 3월
2. 먀샬플랜(Marshall plan 1947년 6월)과 IMF-GATT체제의 출범
3. 베를린 봉쇄(1948년 6월)
4. NATO(북대서양 조약기구, 1949년 4월)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냉전이 끝난 후, 인권과 인간안보와 같은 좀더 보편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권 수호자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던 UN도 평화유지군, 협상중재 등의 범위에서 역할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유엔의 역할은 국가간 분쟁이 일어나면, 평화지역을 조성하고, 분쟁 조정 기제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안보이사회는 종종 공격국에 대한 경제제재를 가하기 위해 소집되었고, 대부분의 경우 국가의 안보, 안정이 유엔의 주요 관심사였기 때문에 인간 안보는 상당정도 간과되었다.
따라서 탈냉전 후, 국가내의 내전과 인종갈등으로 생겨난 분쟁에 대해서 유엔은 힘을 발휘할 수 없었으며,
<중 략>
수정주의는 냉전의 기원을 소련과 스탈린의 팽창에서 찾으려는 전통주의적 시각에 반기를 든 관점이다. 수정주의자들은 냉전은 기본적으로 19세기 이래 미국의 팽창을 정당화 했던 “명백한 숙명”과 이에 따른 문호개방정책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는 교묘히 포장된 미국 자본주의의 속성에서 시작된 것이라 주장한다. 이 관점에 의하면 미국은 냉전 시작에 상당한 책임이 있으며, 그것은 전후 처리에서의 미국의 소련에 대한 과도한 적대적 반응, 그리고 그에 대한 소련의 대응에 기인한 것이다.
소련은 먼저 전후 유럽에 대한 미국의 경제 원조를 공산주의 경제체제와 그 독립성에 대한 커다란 위협으로 인식했다.
<중 략>
냉전 시대에는 동아시아 지역 대부분의 국가가 미국과의 2국간 안전보장의 틀을 갖고 있었으며, 그 총체로서 지역의 국제관계가 유지되어 왔다. 냉전이 종식되고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이 감소하였지만 일본의 재무장 및 군사대국화 가능성과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 및 군비 증강 등이 미국과의 2국간 안전보장의 틀을 대체할만한 틀을 예상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평화와 안정에 관한 지역내 여러 국가들의 고조된 우려가 최근 APEC이나 아세안 확대 외상회의 등에 반영되었지만,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로서는 대외 개방과 안전보장을 함께 할 수 있는 지역기구를 구축하는 일이 긴급한 과제이다.
참고 자료
김준형, 냉전의 기원에 관한 연구 : 수정주의적 냉전관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1984
김정배, 냉전은 도대체 무엇이었는가? :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이유, 한국정치평론학회, 2010
이원복, 동서 냉전의 시대, 계몽사, 2005
역사교육교재연구원, 냉전 체제의 전개, 한얼교육, 2007
정문상, 한국의 냉전문화 형성과 문화대혁명, 중국근현대사학회, 2010
진장철, 냉전의 종식과 국제정치이론 :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