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특성,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의 모방행동,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의 상동행동, 자폐아동(자폐증)의 대인관계,감각통합훈련
- 최초 등록일
- 2013.04.26
- 최종 저작일
- 2013.04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특성
Ⅲ.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모방행동
Ⅳ.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상동행동
Ⅴ.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대인관계
Ⅵ.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감각통합훈련
1. 전신을 이용한 운동을 실시한다
2. 아동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킨다
3. 아동의 동기를 잘 유발시킨다
4. 적절한 활동을 창안한다
Ⅶ.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언어지도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가정 및 지역사회에서 빈번하게 상용되는 실제적 기술들을 정신지체아에게 교수하는 것의 중요성과 그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이루어져왔다. 특히 정신지체아들이 수용시설에서 나와서 각자의 지역사회의 그룹 홈이나 가정으로 돌아가기 시작하고, 미국 장애인교육법이 실행되기 시작한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집안에서의 활동들(예: 양치질하기, 옷 입기)보다는 길 건너기, 물건사기 등과 같이 지역사회 기술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정신지체아에게 가르치는 교육내용이 실제적 지역사회 기술을 강조하고, 교수장소도 실제 지역사회를 활용하게 된 데에는 정상화원리와 응용행동분석 방법의 발달에 크게 기여하였다(박은혜,1997).
70년대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교육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 왔다. 그 이전에는 발달론적 관점에서 교육의 목적은 비장애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가르침으로써 발달 수준을 점차 높여 가는 데에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도장애인을 위한 교육에서도 교실 내에서의 학습 즉, 형태, 색인지나 기초 학습 기술, 페그 꽂기 등의 조작 기술 등을 위주로 교수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내용에 대한 적절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점차 기능적인 기술인 작업, 여가 및 오락, 그리고 지역사회에서의 기능면의 교수의 중요성도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기능적 교육과정의 출현은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문제제기 이외에 다양한 시대 상황과 아울러 특수교육에 영향을 끼친 사상적, 법적, 기술적 변화인데 구체적으로는 정상화의 원리(normalization), 탈시설 수용화(deinstitutionalization), 모든 아동들을 위한 교육의 법, 통합교육의 추세 등으로 볼 수 있다.(신현기, 1996).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첫째, 정상화는 특수교육법과 장애인 서비스 법, 정책, 프로그램 등을 기획, 고안하는데 사용한 개념으로 특히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태도 변화에 그 중심을 두고 있는데 그 뜻은 정상인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근접한 곳에서 살도록 하자는 데 있다. 이러한 원리는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에 두 가지 차원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박승희, 1993).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교육과정은 장애 학생이 비장애인들이 경험하는 것과 유사한 양식과 조건들을 경험하도록 준비시키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② 장애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교육방법, 교수절차, 교육환경들은 표준적인(normative)것으로 구성되고 계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중도 장애인들은 점차 탈시설 수용의 방향으로 전환하게 되었고 이러한 탈시설 수용화의 결과 교육자들은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생활해야 하는데 필요한 기술들의 필요성의 인식과 함께 그들을 준비시켜야 할 필요성과 책임감을 가지게 되었다(김선경,1998).
참고 자료
강미영(1995), 환경접근을 통한 언어지도가 자폐유아의 표현언어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박경희(1996), 효과적인 자폐아 조기교육 구성요소,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심미향(2006), 세상으로 한발 다가서기 : 자폐아동의 읽기 경험을 통한 대인관계태도에 대한 사례연구, 경기대학교
이희영(2007), 화용적 모방놀이 프로그램이 자폐아의 의사소통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이해자(1995), 감각통합교육에 의한 자폐아의 상동행동 변화, 대구대학교
한성수(2005),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우송정보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