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금융][소매][금융][금융기관][금융시장][시장][금융업][금융산업][주택금융]소매금융의 개념, 소매금융의 중요성, 소매금융의 변화요인, 소매금융의 대처방안, 시사점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4.26
- 최종 저작일
- 2013.04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소매금융의 개념
Ⅲ. 소매금융의 중요성
Ⅳ. 소매금융의 변화요인
1. 고객의 기대(The Expectations of Customer)
2. 고객과의 유대강화(Virtual Customer Intimacy)
3. 경쟁심화
4. 인터넷 혁명
Ⅴ. 향후 소매금융의 대처방안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소매금융의 개념
소매금융(小賣金融. retail banking)이란 개인 및 개인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거래를 말하며 개인금융(individual banking), 소비자금융(consumer banking)이라고도 하며 서민금융(庶民金融. 例 서민금융전담은행을 국민은행)이라고도 한다.
법인, 기관 정부등을 상대로 하는 도매금융(都賣金融. wholesale banking)과 대칭되는 개념이다.
J.B.Howcroft and J.Lavis에 의하면 “소매금융은 개인고객에게 어떤 기관을 통하여 제공되는 금융서비스 또는 서비스의 집단을 의미한다”.
소매금융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미국은행들은 관계금융(relationship banking)의 강조, 수수료수입에 대한 관심, 고도의 개인화된 서비스의 제공 노력 등 구체적 행동전략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Ⅲ. 소매금융의 중요성
소매금융이란 금융의 최종 소비자인 개인. 가계 등을 대상으로 한 금융거래로서, 개인금융 (Individual Banking) 또는 소비자금융(Consumer Banking)이라고도 한다. 이에 반하여 도 매금융(Wholesale Banking)은 개인이 아닌 법인을 상대로 하는 금융거래를 의미한다. 소매 금융의 범주에는 순수가계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도매금융으로 분류되는 법인, 정부 및 공공기관의 임직원의 개인적 거래와 넓은 의미에서의 자영업자 등 소규모 개인사업가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도매금융거래는 은행의 저코스트로 큰 금액의 유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은행들이 이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 유지와 향상을 위하여 매진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시장에서의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그러나 도매금융시장의 장기적인 전망은 밝은 편이 아니다. 선진국의 예를 보더라도 GNP가 5,000$을 넘게 되면 경제는 안정성장을 구가하게 되는데, 이에 비해 지금까지 한국에서 도매금융이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경제가 고속성장의 길을 달려오는 가운데 기업의 시설투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이자율이 상승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은행의 수익성의 극대화가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경제성장이 안정성을 찾아가면서 기업들 자금조달패턴이 차입코스트의
참고 자료
김원수(1966), 소매기관경영론, 경문사
문철상(2011), 소매 금융 산업에서 보상과 인식이 서비스 지향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백금기(2005), 은행의 소매금융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전북대학교
송형섭(2007), 소매금융 고객유형별 은행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북대학교
오성동 외 2명(2003), 국내은행의 소매금융 활성화 방안, 조선대학교경영경제연구소
이군희(2009), 금융위기와 스트레스 테스트 : 소매금융을 중심으로, 전국은행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