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소음예측모델링 및 소음저감방안
- 최초 등록일
- 2013.04.23
- 최종 저작일
- 2012.12
- 28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교통소음예측의 비교
4. 교통소음 저감방안
5. 결 론
6.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2010년 전국 소음진동 측정망 운영결과
1992년 이후에 환경분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된 피해분쟁의 원인으로 소음 진동,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이 있음.
이중 소음 진동이 2010년까지 총 2,070회로 가장 빈번한 분쟁의 원인임.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1. 서 론 ( 환경 관련 민원 발생)
도로변 지역 낮 시간
도로변 지역 밤 시간
사후 환경저감시설 설치
(사회적 비용, 저감시설의 재설계 및 재시공으로 인한 비용 지불)
목표 : 환경영향평가시
보다 정확한 소음예측
모델링의 파악 및 개선방안 모색
소음저감시설의
추가설치에 따른
비용발생
도로의 확충 및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소음민원
<중 략>
소음예측에 대한 고찰
각 모델링의 특성에 따른 차이
- 국립환경과학원식은 단순히 교통량 및 이격거리로 소음예측
- HW-NOISE 모델은 지형조건 및 도로형태가 반영되나, 주변 건물등의 영향은 미반영
- CADNA-A 모델은 지형조건 및 도로형태, 주변 건물 등의 영향을 반영함.
실측치와 예측치의 차이를 발생하는 원인 중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것은 교통량 차이임.
즉, 실측시에는 5분간 측정하기에 그 동안 통과하는 차량에 의한 소음이 측정되는 반면,
예측치에는 1시간 단위의 교통량으로 예측함으로 이로 인한 차이가 발생함.
참고 자료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환경분쟁조정 20년사(1991~2011)”
국민권익위원회. (2011). “도로교통 소음피해 집단민원 예방대책 수립”
환경부 보도자료. 2011.07.01
양용수, (2010). “도로교통소음 저감계획의 경제적 가치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
소음진동관리법 및 시행규칙, 소음진동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환경부고시 제2010-142, 2010.10.07」
환경정책기본법
수원시. (2012). “수원시 고가차도 주변 소음저감대책 종합보고서”
한국토지공사. (2002). “단지내 도로교통 소음예측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1999). “고속도로 소음평가 및 방음벽 설계요령”
국립환경연구원. (1999). “도로교통소음(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