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1)OLE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OLED)란 유기 기판에 적, 녹, 청색 등의 빛을 내는 유기화합물을 사용하여 자체 발광시키는 디스플레이이다. 유기물을 발광층으로 사용하며,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과 유사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라고도 한다. OLED는 유기물 층과 음극과 양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물 박막(저분자 혹은 고분자)에서 음극(Cathode)과 양극(Anode)을 통해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재결합되고 이때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바닥상태(Ground state)로 되돌아가면서 특정 파장의 빛을 발광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Photoluminescence의 경우 외부에 주입된 빛에 의해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에 있던 전자가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로 여기되어 singlet exciton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singlet exciton이 다시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그 에너지 차에 해당하는 빛을 방출하게 된다. Electro luminescence의 경우인 OLED의 경우에는 반도체 conduction band의 전자들이 valence band의 정공과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빛 방출이 일어난다.
우선 금속(음극)에서는 전자가 conduction band(고분자의 경우 LUMO)로 주입되며 양극에서는 정공이 valence band(HOMO)로 주입된다. 발광층 내에 주입된 carrier들은 고분자 내 π-결합을 따라 비편재화되어 π전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비편재화된 carrier들은 발광층 내에서 고분자 격자와 coupling되면서 각각 negative polaron (electron-lattice), positive polaron(hole-Lattice)을 형성하게 된다. 이런 새로운 형태의 carrier들은 각각 안정화된 위치에서 해당 에너지를 갖게 된다.
참고자료
· Tae-Woo Lee and O Ok Park, Adv.Mater. 2000,12,801-804.
· Tae-Woo Lee, et al., Adv.Funct.Mater. 2007,17,390-396.
· Baldo, M.A., Lamansky, S., Burrows, P.E., Thompson, M.E., Forrest, S.R. Applied Physics Letters 75 (1), pp. 4-6
· Chen, C.H., Shi, J. Coordination Chemistry Reviews 171 (1), pp. 161-174
· http://en.wikipedia.org/wiki/OLE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