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과교육론 수업 레포트입니다
목차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의 정의
가. 교수요목으로서의 교육과정
나. 경험중심 교육과정
다. 학문중심의 교육과정
라. 인간중심의 교육과정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발전과정
가. 교수요목기(1946년~1954년)
나. 제1차 교과과정(1954년~1962년)
다. 제2차 교육과정(1963년~1973)
라. 제3차 교육과정(1973년~1981)
마. 제4차 교육과정(1982년~1987년)
바. 제5차 교육과정(1987년~1994년)
사. 제6차 교육과정(1995년~2002년)
아. 제7차 교육과정(2002년~2009년)
자. 제7차 개정 교육과정(2009년~현재)
본문내용
1.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이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편성ㆍ조직한 계획(두산백과)을 말한다. 교육과정(curriculum)의 어원은 라틴어의 `쿠레레(currere) : 달린다‘에서 온 말이고, 이것이 나중에 경마장의 경주로(race course)를 의미하는 말이 되었다. 경마장의 말이 출발해서 일정한 코스를 통과한 후에 결승선에 이르는 과정과 같이 교육과정이란 일정한 기간 동안 학생들이 공부하는 내용 즉, ‘학습 내용’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이란 일반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의미하며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현해야 할 교육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에 대한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실행 과정이자 교육 설계이며 세부 실천 계획이다(권영민, 2004).
2. 교육과정의 정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육과정은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의해 변화했다. 따라서 그 시대와 사회에 따라 교육과정의 정의도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기에 그 정의를 하나로 정하기는 어렵다(김은정, 1984; 김재복, 1996; 이정복, 2003).
가. 교수요목으로서의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대한 가장 오래된 정의는 교육과정의 어원적 의미에 따라 ‘교수요목(a course of study)’이라고 정의한 것이다. 교수요목이란 가르칠 내용의 주제나 제목을 열거한 것으로 각 학문분야에서 중요한 지식을 선택하고 그 각각을 다시 세부적인 단위로 쪼개어 각각의 순서에 맞게 전체적으로 조직해 놓은 것을 말한다. 20세기 이전의 학교교육에서는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규정하였는데 이러한 정의가 받아들여지던 시대의 교육과정을 교과중심 교육과정이라고 한다.
참고 자료
권영민(2004), 국가수준 교육과정 평가 체제의 구축방안, 교육과정연구, 22(1), 19-43
교육과학기술부(200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교육부(1992), 교육부 고시 제 1992-16호
교육부(1997),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김용식(1997), 한국의 학교 교육과정, 교육논총, 14, 157-175
김은정(1984), 교육과정 유형의 변천과 전망, 사대논단, 3, 11-23
김재복(1996), 교육과정의 내용조직 유형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14(3), 73-93
문교부(1963), 문교부령 제 119호
문교부(1973), 문교부령 제 310호
문교부(1981), 문교부 고시 제 442호
문교부(1987), 문교부 고시 제87-9호
설화란(2010),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현행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정복(2003), 교육과정의 유형 분류, 교육발전, 22(1), 27-41
한상훈(1996), 한국 체육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문헌적 고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두산백과사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method=view&MAS_IDX=101013000724311, 20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