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운동(독립운동)의 태동, 해방운동(독립운동)의 연혁,정당, 해방운동(독립운동)의 독립선언문,대한독립군, 해방운동(독립운동)의 대한광복군,주요인물(이승만과 백범 김구)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4.16
- 최종 저작일
- 2013.04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목차
Ⅰ. 서론
Ⅱ. 해방운동(독립운동)의 태동
Ⅲ. 해방운동(독립운동)의 연혁
1. 봉오동 전투【1920. 7】
2. 청산리 대첩【1920. 10】
3. 간도 참변【1920. 11-12】
4. 자유시 참변【1921】
5. 독립군의 재정비(3부의 성립)【1923-24】
6. 미쓰야 협정【1925】
7. 한중 연합 작전【1931년 이후~】
Ⅳ. 해방운동(독립운동)의 정당
Ⅴ. 해방운동(독립운동)의 독립선언문
Ⅵ. 해방운동(독립운동)의 대한독립군
Ⅶ. 해방운동(독립운동)의 대한광복군
Ⅷ. 해방운동(독립운동)의 주요인물(이승만과 백범 김구)
1. 이승만
2. 김구
Ⅸ. 결론
본문내용
3.1운동은 식민지 조선의 발전과정에서 역사적 전환기였다. 우리 민족의 거족적인 3?1운동에 놀란 일제는 그 동안 강압적인 무단통치에서 기만적인 문화정치로 바꾸면서 더욱 교활하게 식민통치를 강화해 나간다. 이러한 변화는 그 시대를 살아가던 우리 민족의 삶에도 영향을 주어 다양한 삶의 양태로 나누어지게 된다. 일제의 문화정치라는 기만적인 회유술책에 굴복하여 일부 정치운동가와 지식인들은 독립운동의 대열에서 떨어져 나와 개인의 안락을 추구하는 삶의 길로 들어서게 되고, 어떤 부류는 민족개량주의 단체를 만들어 말로는 민족을 위하고 독립을 주장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자신의 명예와 지위 향상을 위한 발판으로 이용하고
<중 략>
만주에서 편성된 독립군의 항전은 그 투쟁지역으로 볼 때 둘로 나눌 수 있다. 즉 만주에서 일본 군경과 전투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국내로 진입하여 일제의 통치기관을 습격 파괴하거나 일본 군경과 싸우는 것이었다. 그런데 독립군은 대규모의 전투를 치르기에는 장비나 병력면에서 너무 열세에 처해있어, 자연 소규모의 병력으로 국내에 진입하여 일본군경을 기습하는 게릴라전을 주로 하였다. 따라서 초창기의 독립군 활동은 병력을 모아 훈련시키고 무기를 구입하여 무장하는 것이었다. 무장부대의 형태를 갖춘 독립군은 종종 국내로 침투하여 일본 군경과 전투를 전개하였다. 1920년대 초반기에는 본격적으로 만주
<중 략>
그러나 현행 국사 교과서의 내용과 체제로는 이 시기가 지니는 중요성과 역사 교육적 가치를 살려내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근 현대사시기를 대상으로 한 역사교육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이 그 시대가 지닌 여러 모습에 대한 나열적 지식을 얻는 것이 아니라, 그 모습들이 당시 사람에게 어떤 의미를 지녔으며 좀 더 발전적인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주어진 시대적 책무가 무엇인지 소박하게나마 느껴보도록 하는 것이라면, 현재 우리의 국사 교과서는 대단히 부족한 학습 자료임을 부정할 수 없다.
참고 자료
고성훈, 민족해방운동과 일제의 사상탄압, 동국대학교, 1988
김기석, 독립선언문과 의의 사상, 한국정경연구소, 1968
김승, 일제하 언양지역 민족해방운동의 성장과 발전, 효원사학회, 2005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세계 식민지 해방운동과 한국독립운동, 문화체육관광부, 2005
이기훈, 민족해방운동과 독립운동, 한국역사연구회, 2005
이준식, 민족해방운동의 유산과 민주화운동, 한국역사연구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