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한국][언론개혁][교육개혁][의식개혁][리더십함양]한국사회의 언론개혁 요구, 한국사회의 교육개혁 요구, 한국사회의 의식개혁 요구, 한국사회의 리더십함양 요구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4.16
- 최종 저작일
- 2013.04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한국사회의 언론개혁 요구
1. 객관성
2. 편파성 혹은 중립성
3. 공정성
Ⅱ. 한국사회의 교육개혁 요구
1. 현황
2. 정책방향
Ⅲ. 한국사회의 의식개혁 요구
Ⅳ. 한국사회의 리더십함양 요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한국사회의 언론개혁 요구
현재 언론에 대한 공중의 비판적 담론은 객관성, 사실성, 불편부당성, 의도성, 공정성 등과 같은 가치 또는 규범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언론과 관련해서 제기되는 이러한 가치 또는 규범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나 규범이 우리 언론에 대해 얼마나 구속력 있는 가치 또는 규범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고려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객관성, 사실성, 불편부당성, 의도성, 공정성 등과 같은 개념을 동원한 언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이 오히려 언론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와 부적절한 논쟁만 가중시킨다. 이러한 오해와 부적절한 논쟁은 결국 우리 언론과 관련해서 무엇이 결정적인 문제인지 확인하기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1. 객관성
먼저 객관성(objectivity)과 관련해서는 흔히 가중되는 개념 사용의 오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언론의 객관성’을 ‘객관성’ 개념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이 그것이다. ‘언론의 객관성’은 역사적으로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방식으로 형성된 규범/의식/전략으로서 형이상학적 실재론, 인식론적 객관론, 가치론의 사실과 가치의 구분 등에 대한 논의에 사용되는 ‘객관성’ 개념과 구별된다.
전자, 즉 ‘언론의 객관성’은 1830년대 미국의 페니 프레스(penny press)라는 상업적 대중신문의 등장과 함께 실행되기 시작한 ‘견해’와 ‘정보’를 구분하는 보도양식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Schudson, 1978). 이는 1차 대전 후 미국 언론인의 직업적 정체성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규범화되고 지배적 가치로 확립된 일종의 직업적 규범/의식/전략이다(Schiller, 1981; Schudson, 2001).
참고 자료
강영식 외 2명, 의식개혁을 위해 인간공학에 의한 위험성 평가 기법 개발,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9
김종백, 교육개혁과 교육심리학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박경현, 리더십 함양을 위한 화법교육 방안, 경찰대학, 2009
윤혜선, 학력신장 교육개혁과 교사 감정노동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1
오해섭 외 1명, 국제교류활동 참여와 청소년의 글로벌리더십 함양, 숙명여자대학교, 2006
황치성, 10명중 9명이 '언론개혁' 요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