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사(근현대사) 성격,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5 18광주민주화운동 배경,5 18광주민주화운동 명칭,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제주 4 3사건 배경,제주 4 3사건 명칭
- 최초 등록일
- 2013.04.16
- 최종 저작일
- 2013.04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성격
Ⅲ.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이념
Ⅳ.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주항쟁, 5 18광주민중항쟁) 배경
Ⅴ.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주항쟁, 5 18광주민중항쟁) 과정
Ⅵ.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주항쟁, 5 18광주민중항쟁) 명칭
Ⅶ.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주항쟁, 5 18광주민중항쟁) 주민인식
Ⅷ.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배경
Ⅸ.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과정
Ⅹ.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명칭
Ⅺ. 한국 근대사(근현대사)의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주민인식
Ⅻ.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연합국에 항복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는 동시에 우리 민족도 35년간의 식민통치에서 광복이 되었다. 이것은 꾸준한 한일운동의 결과가 배경으로 작용하였지만 우리 자력만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었고, 이러한 광복은 후에 현대사를 규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광복직후 미․소 양군의 분할점령과 군정이라는 쓰라린 경험을 맛보았고, 좌․우익의 대립 속에 결국 남북한에 두개의 독립정부가 수립됨으로써 국토와 민족이 분단되고 말았던 것이다. 이런 중 1948년 남북협상파가 대거 불참한 가운데 총선이 실시되었으며 이승만이 압승을 거두었고 같은 해 북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
남북의 분단대립은 결국 한국전쟁을 초래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은 남침을 강행했으며 이 전쟁은 일어난 지 3년 만인 1953년에 휴전선이 성립됨으로 끝났다. 6.25동란은 남북한 모두 엄청난 임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하였을 뿐 아니라, 민족내부의 갈등이 심화되어 남북한의 분열이 고정되어 돌이킬 수 없는 결과가 초래됐다.
전쟁후에는 남북한 각기 재건을 통한 체제경쟁에 힘을 기울였으며 이 과정에서 심한 정치혼돈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정치혼란은 1961년 5월 16일 군사혁명을 일으키고 박정희가 제5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0월 유신을 위시하여 장기집권 하다가 10,26사태가 일어나 저격당함으로써 유신체제는 붕괴되고 18년간의 박정희정권은 종말을 고하였다. 10월 유신사태로 최규하가 제10대 대통령에 취임하여 위기관리내각을 조성하였으나 사회각계에서 유신의 잔재제거와 민주화조처를 요구하는 국민의 요구가 폭발하였다.
다음으로 전두환이 제11,1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고 이어 노태우가 제13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국회의원 선거에서 실패함으로써 4당 체제로 운영되었다.
참고 자료
노형석 저, 이종학 역(2005), 한국 근대사의 풍경, 생각의나무
박걸순(1998), 한국근대사학사연구, 국학자료원
이윤섭(2009), 한국근대사, 평단문화사
최경숙(2001), 한국 근대사의 이해,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현광호(2010), 세계화 시대의 한국근대사, 선인
황선희(2003), 한국 근대사의 재조명, 국학자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