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 3항쟁(제주4 3사건)의 역사적 의미, 제주 4 3항쟁(제주4 3사건)의 국면구분, 제주 4 3항쟁(제주4 3사건)의 역사왜곡, 제주 4 3항쟁(제주4 3사건) 주민인식
- 최초 등록일
- 2013.04.16
- 최종 저작일
- 2013.04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목차
Ⅰ. 서론
Ⅱ.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역사적 의미
Ⅲ.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역사적 배경
Ⅳ.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요인
1. 인구변동
2. 운송과 통신
3. 토지소유관계
4. 지리적 위치
5. 정치적 공백기간
6. 과거의 정치적 경험
Ⅴ.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국면구분
Ⅵ.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인명피해
Ⅶ.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역사왜곡
Ⅷ.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주민인식
1. 세대 변화
2. 성별 차이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970년대에는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서야 겨우 4․3을 표현하거나 접할 수 있었을 뿐이고, 4․3은 여전히 금기의 영역이었다. 그 시절 발표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사실은 우리 현대사에 대해서 망각을 강요받고 지냈다. 1980년대에 들어서 한국현대사에 대한 사회적이고 대중적인 요구가 늘고, 학계에서도 연구열이 고조되면서 그 동안 잊혀져 왔거나 침묵을 강요당했던 한국현대사의 은폐된 진실들이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발표자도 대학에 들어가 현기영의 소설 ꡔ변방에 우짖는 새ꡕ, 김석범의 소설 ꡔ화산도ꡕ 등을 통해서 비로소 제주도의 아픈 역사를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제주4․3을 실제로 겪었던 사람들의 입을 통해서가 아니라 제3자의 눈을 통해 학문적으로 논구한 최초의 시도는 아이러니칼하게도 미국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죤 메릴(John R. Merrill)의 「제주도반란」(“The Chejudo Rebellion,”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 2, 1980)은 당시 일본 동경에 있던 미 육군 극동군사령부 정보보고서(G-2 Report)를 이용하여 4․3의 전개과정을 분석하였고, 4․3을 학문적 논의의 장으로 끌어들였다. 이어서 1980년대 후반부터 박명림, 양한권, 고창훈 등 국내 연구자들이 본격적으로 4․3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또 이때부터 민간 차원의 진상조사가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제민일보 4․3취재반에 의해 현재 5권까지 발간된 ꡔ4․3은 말한다ꡕ(전예원 간, 1994~1998)는 4․3의 진상을 광범하게 조사하고 이를 집대성함으로써 보다 풍부한 사실적 근거 위에서 4․3을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전 단계의 연구가 4․3항쟁의 배경과 전개과정, 학살에 대한 진상 규명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면 최근의 연구는 그것에 덧붙여 4․3의 역사적 의미와 4․3이 뒤에 남은 자들에게 남겨준 역사적․현실적 과제의 해결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 단계 연구경향과 구별된다. 지난 해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제주4․3 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가 편(編)하고 제주4․3 제50주년 기념사업추진범국민위원회가 간행한 ꡔ제주4․3 연구ꡕ(역사비평사, 1999)는
참고 자료
김영훈(2000), 제주 4·3의 현재적 과제와 전망, 삼인
박명림(1988), 제주도 4·3 민중항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양정심(1995), 제주 4·3항쟁에 관한 연구: 남로당 제주도위원회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양정심(2006), 제주 4·3투쟁 연구, 성균관대학교
전예원(1994), 제민일보 취재반, 『4·3은 말한다』1
제주특별자치도 외 3명(2007), 과거사와 교육·제주4·3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제주4.3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