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적 변화(Changes of reproductive organs)
1.자궁의 퇴축성 변화는 어떤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가?
①자궁근 섬유의 수축과 견축
태반만출 후 자궁근육은 즉시 수축하고 자궁벽이 두꺼워진다. 자궁의 수축을 통해 자궁내 잔여물질을 배출시키고 산후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자궁은 분만직후 1kg에서 6주후 40~60g으로 줄어든다.
②자궁벽 세포의 단백물질들의 자가분해
자가분해과정을 통해 단순요소들은 환원되어 혈중으로 흡수되고, 잔여물들이 소변을 통해 배출된다. 때문에 분만 후 수일은 뇨중 질소함량이 증가된다.
➂자궁내막의 재생
태반부착 부위를 제외한 부분은 급속히 진행되어 3주면 완치되며 부착부위의 치유과정은 7주 정도가 소요된다.
2.태반이 부착되었던 부위는 어떻게 정상복구되는가?
- 태반이 분리되면 자궁내막에는 탈락막의 기저부분이 남게 되는데 이는 출혈과 감염의 원인이 된다. 이 부분은 백혈구의 침토로 육아조직을 형성하여 괴사되어 오로 내 조각으로 떨어진다.
3.정상적인 퇴축이 지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다태임신과 양수과다산모, 경산부는 자궁근 섬유들의 탄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퇴축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4.분만 후 얼마동안 자궁저부가 제와부 위에서 촉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분만으로 압박당하였던 골반저부의 근육이나 방광 근육의 긴장도가 정상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자궁저부가 상승한다.
5.때때로 자궁저부가 제와부의 왼쪽이나 오른쪽에서 촉지된다. 이유는 무엇인가?
- 방광이 팽만되면 자궁을 밀어올리기 때문에 반드시 방광을 비워 줘야한다.
6.자궁퇴축이 초산부가 빠른 이유는 무엇인가?
- 초산부의 자궁근섬유들은 탄력성이 높아 수축이 매우 좋다.
오로(Lochia)
자궁은 수축되고 축소되어 점차적으로 비임신 상태로 회복된다. 오로는 자궁점막의 치유과정의 하나로 태반 부착위로부터 소량의 점액과 탈락막과 세포의 극히 작은 조작을 포함하여 혈액으로 구성된다. 이 오로의 농도와 양상은 매일 변화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