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고침입(대몽항쟁, 몽골항쟁)의 의의, 몽고침입(대몽항쟁, 몽골항쟁)의 과정, 몽고침입(대몽항쟁,몽골항쟁)의 몽고군 전력, 몽고침입(대몽항쟁,몽골항쟁)의 민란(民亂),강화(講和)
- 최초 등록일
- 2013.04.15
- 최종 저작일
- 2013.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몽고침입(대몽항쟁, 몽골항쟁)의 의의
Ⅲ. 몽고침입(대몽항쟁, 몽골항쟁)의 과정
Ⅳ. 몽고침입(대몽항쟁, 몽골항쟁)의 몽고군 전력
Ⅴ. 몽고침입(대몽항쟁, 몽골항쟁)의 민란(民亂)
Ⅵ. 몽고침입(대몽항쟁, 몽골항쟁)의 강화(講和)
1. 대몽강화의 성립
1) 강화론의 대두
2) 강화 성립의 배경
2. 장기간 항전의 원동력은
3. 강화론의 계급적 성격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징기스칸, 즉 테무진은 그의 씨족을 중심으로 1만 명의 정예부대를 구축했다. 그는 1206년 몽고족을 완전히 장악한 후, 스스로 징기스칸의 칭호를 취했다. 징기스칸(成吉思汗(성길사한)이란 「황제 중의 황제」라는 뜻이다. 징기스칸이 1227년에 사망했을 때, 몽고족의 총병력은 고작 12만9천명에 불과 했다. 유목민족의 관점에서는 대병력이었지만 중국의 한족에 비해서는 미미한 숫자였다. 또한 몽고족 전체는 약 1백만에서 2백만 가량으로 추정됐던 반면, 한족의 인구는 2천만 명에 이르렀다. 이러한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징기스칸이 이끄는 몽고병은 군사적으로 압도적인 역량을 과시했다.
드디어 몽고족은 중원으로 이르는 길목에 위치했던 西夏(서하)를 제거하고 곧이어 북방을 장악했던 金(금)의 세력을 크게 위축시켰다. 이렇게 남진을 계속하면서, 징기스칸은 소쪽으로도 영토를 넓혔다. 그는 중앙아시아지역을 공략하여 마침내 거대한 몽고제국을 건설했다. 그가 죽었을 때, 분할상속의 부족풍속을 따라 몽고제국은 4개의 지역으로 나뉘었다. 각 지역은 왕이란 뜻의 「칸」(汗(한))을 세우고 독자적인 통치권을 형성했다. 이러한 분열상은 거대한 몽고제국이 백년을 넘기지 못하고 해체되는 원인이 됐다. 우선 종교적으로 몽고제국의 칸들은 분열상을 보였다. 예를 들어, 중국의 황실은 불교를 각각 수용했다.
<중 략>
나라의 통치자가 동물을 죽이는 것을 금지하고 앞장서서 육식을 절제하니 자연 고기를 얻을 목적으로 가축을 기르는 것도 등한시 하였을 것은 자명한 일이고, 육류의 공급은 몹시 적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일부 상류층에서나 육식을 즐겼음이 高麗圖經의 곳곳에서 발견된다.
“고려에는 양과 돼지가 있지만 왕공이나 귀인이 아니면 먹지 못하였고, 가난한 백성은 해산물을 많이 먹는다.”
“고려의 봉록이 지극히 박해서 다만 생쌀과 채소를 줄 뿐이며 또 상시에 고기를 먹는 일이 드물어서, 중국 사신이 올 때는 바로 대서의 계절이라 음식이 썩어 냄새가 지독한데, 먹다 남은 것을 주면 아무렇지 않게 먹어 버리고 반드시 그 나머지를 집으로 가져간다.”
참고 자료
김동전, 삼별초의 대몽항쟁과 제주도, 해양문화재단 :생각의나무, 2001
윤용혁, 고려의 대몽항쟁, '단계적으로 발전해 간 항쟁역량', 내일을 여는 역사, 2003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윤용혁, 고려대몽항쟁사 연구, 고려대학교, 1988
이원복, 무인 정권과 대몽 항쟁, 계몽사, 2005
역사교육교재연구원, 대몽 항쟁과 원의 간섭, 한얼교육,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