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신화][신화]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 최초 등록일
- 2013.04.15
- 최종 저작일
- 2013.04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500원
목차
Ⅰ. 개요
Ⅱ. 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1. 4모링
2. 5모링
3. 6모링
4. 7모링
5. 8모링
6. 9모링
Ⅲ.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Ⅳ.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Ⅴ.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Ⅵ.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1. Kotan-kor kamui kot-tureshi isoitak, 村主の梟神の自敍
2. Hashinau-uk kamui isiitak, 狩獵の媛神の自敍
3. Aeoina-kamui yaieyukar, 시조신의 자서(始祖神の自敍)
4. Ainu-rak-kur yaieyukar, 아이누류쿠루
Ⅶ.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1. 곤륜산(昆侖山)
2. 구미호(九尾狐)
3. 도(Doh)
4. 마이데레(Maidere)
5. 방중술(房中術)
6. 신공황후(神功皇后)
7. 여와(女와)
8. 장도릉(張道陵)
9. 허유(許由)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동아시아 창세신화의 유형과 관련해서는 이미 여러 견해들이 제출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세계 창세신화에는 성서(聖書)의 창세기(創世記)처럼 창세주가 직접 존재하고, 일관되게 등장하여 천지와 인간을 관장하는 유형인 천지창조형, 개념을 명백히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천지가 저절로 나뉘고 만물이 형성되는 것을 지적하는 것으로 보이는 천지개벽(분리)형의 두 유형이 있다는 견해이다. 그러나 이런 식의 유형 분류가 자료의 실상에 기초한 분류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없지 않다. 천지창조형의 유일한 예로 거론한 성서창세기의 경우 자연상태의 신화가 아니라 어떤 기술원리에 의거하여 이미 ‘정리되어 기록된’ 신화이므로 그것을 유형 분류의 준거로 삼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 못된다. 그리고 유일하다고는 말하지 않을 지라도 하나의 창세신이 등장해서 천지만물과 인간을 창조하는 신화가 <창세기>에만 있는 것도 아니다. 선험적 전제에 의해서가 아닌 자료의 실상으로부터 귀납된 유형분류가 긴요하다.
<중 략>
[일본] 14대 천황 쥬아이(仲哀)의 아내. 본명은 오끼나가다라시히메이며, 아버지는 9대 천황의 증손자인 오끼나가 스꾸네(息長宿), 어머니는 신라에서 온 왕자 아메노히보꼬의 후손인 가쓰라기 나까누까히메(葛城高額媛). 스물넷이 두 번째 황후가 되었다. 천황이 아나도(穴門)의 반란을 진압하러 떠날 때, 나중에 합류하였다. 그곳 바다에서 여의주를 얻었다. 신공황후는 천황이 죽은 후 아마떼라스 오미까미와 스미노에 다이징의 신탁을 받아 구마소를 정벌하였다. 아기를 밴 몸으로 금은의 나라 신라를 정벌하러 떠날 때 돌로 몸을 막아 아기가 나오는 것을 멈추고 나중에 돌아와서 이도(伊覩) 길가에서 우미(宇美)라는 아들을 낳았다. 신공황후가 신라로 건너가니 신라왕이 두려워서 저절로 항복하고, 그 소문을 듣고 고루려와 백제의 왕들도 항복하였다고 한다.
참고 자료
서상필(2008), 신화를 통한 다문화 교육 방안 : 동아시아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서대석(2000), 동아시아 영웅신화의 비교연구, 한국구비문학회
임현진(1998), '근대화'를 통해 본 동아시아의 발전 : 신화와 현실, 청계사학회
윤학노(1987), 고대 동아시아 신화의 한 단면, 동국대학교사학회
정재서(2005), 동아시아 신화의 비교학적 분석 및 인문학적 재정의, 한국중국소설학회
하영선(2007), 동아시아공동체 :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