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선전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육정책,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전쟁, 대한민국임시정부 독립군,중국지원
- 최초 등록일
- 2013.04.15
- 최종 저작일
- 2013.04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
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선전활동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육정책
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
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전쟁
1. 방략 일반
2. 외교방략
3. 군사방략
4. 의열투쟁방략과 독립전쟁준비방략
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군
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국지원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일제가 1941년 12월 8일 진주만을 기습하여 제2차 세계대전을 태평양에서도 일으키자, 중경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틀 후인 12월 10일 일본 등 주축국에게 선전포고의 성명을 전 세계를 향해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선전성명서
우리들은 三千萬韓人 及 政府를 대표하여 中, 英, 美, 蘇, 加, 濠 及 其他諸國의 對日宣戰을 삼가 祝賀하나이다. 日本을 擊破하고 東亞를 再造하는 가장 有效手段인 까닭이다. 玆에 특히 下와 如히 聲明하노라.
1. 韓國全體人民은 이미 反侵略陣線에 參加하여 一個戰鬪單位가 되어 軸心國에 대하여 宣戰한다.
2. 1910년 合邦條約 及 一切 不平等條約의 無效와 同時에 反侵略國家의 韓國에서의 合理的 旣得權益을 尊重함을 거듭 宣布한다.
3. 倭寇를 韓國과 中國 및 太平洋에서 完全驅逐하기 위하여 最後勝利까지 血戰한다.
4. 日本의 卵翼에서 조성된 長春과 南京政府를 絶對로 承認치 않는다.
5. 루즈벨트?처칠 宣言의 各項은 堅決히 主張하여 韓國獨立實現에 適用하며, 특히 民主陣線의 最後勝利를 豫祝한다.
大韓民國 23年 12月 10日
大韓民國 臨時政府 主席 金九
外務部長 趙素昻
<중 략>
국민당 중앙집행위원회는 이후 임시정부 내의 분쟁과 미국과의 관계 및 국민당 내부의 책임전담 기구 문제 등으로 1944년 4월 13일 다시 ‘한국문제 처리원칙’을 세웠다. 그 내용중 주목되는 것은 미국과 수시로 상의한다는 항목이었다. 이는 종전에 볼 수 없던 것으로 중대한 태도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카이로 선언에서 한국독립이 보장되었으나, 미 영 소의 한국문제 인식은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당시 미국의 많은 원조를 받으며 항전체제를 유지하던 중국으로서는 미국의 영향력이나 이해관계를 무시할 수 없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원칙은 이후 임정의 승인문제와 전후 한국의 독립문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즉 중국이 임정을 타국보다 먼저 승인하겠다고 누차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임정을 승인하지 않았던 것은 임정 자체의 문제도 있었지만, 중국 당국 자체의 통제 및 이용목적, 미국의 반대 등이 직접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중국은 위의 원칙에서 전담 책임기구를 지정토록 했지만, 실제로 한국문제 관련기관은 통일되지 못했고, 그 지원도 여러 계열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일정한 지원방안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는 이전 단계에 비하면 진전된 것이었지만, 독립운동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어려웠던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심지어 중국의 각 기관은 그들의 필요에 따라 고의적으로 각 당파와 연관을 맺어 임시정부를 비롯한 여러 단체들의 파쟁을 심화시키기까지 했다.
참고 자료
권영건(1992),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삼균주의, 삼균학회
오세종(1991),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가건설론, 계명대학교
윤대원(2002),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남북한의 역사인식, 현대사회연구소
윤대원(2004), 좌우연합을 지향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일을 여는 역사
윤대원(2002),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건과 관내 민족전선통일운동, 역사학연구소
이봉원(2010), 대한민국 임시정부 바로알기, 정인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