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교육의 정체성, 지리교육의 특수성과 교과로의 독립성으로 알아본 지리교육의 정체성
- 최초 등록일
- 2013.04.13
- 최종 저작일
- 2009.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정체성[正體性] 이란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변하지 아니하는 존재의 본질을 깨닫는 성질. 또는 그 성질을 가진 독립적 존재」이다. 그렇다면 지리교육에서 말하는 정체성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그 첫 번째는 지리교육의 존속 근거, 즉 지리학과나 지질학과 등 지리교육의 내용지식과 관련된 학과나 일반 교육학과와는 다른 학문적 차별성을 말하며, 두 번째는 지리라는 학문이 사회과 내에서 일반사회에 통합되지 않고, 하나의 교과로서 독립성이라고 생각한다. 전자의 경우 지리교육에만 국한되지 않고, 교육과정이 변천되고 사회의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문제가 되고 있는 사범대 전체의 전문성과 관련된 문제이고, 후자의 경우 지리라는 학문이 필수 교육과정에 필요한 것인가? 그리고 지리를 배움으로서 추구하는 목적이 ‘다른 사회과와는 다른 독창성이 있는가?’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지리는 통합사회과에서 분리되어 지리교과의 위상 재고와 사범대의 전문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의 정체성 문제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위의 두 가지 문제를 비교 분석하고 지리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의견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중 략>
3. 결론
우리가 생각하는 지리교육에 있어서 잘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아직까지는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와 상식이 많다.’라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 같다. 하지만 지리교육에서의 교과내용이 전부가 아니듯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단순히 사범대의 문제를 교과교육론의 부재와 연결하여 마치 그것만 해결하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생각으로 보지 말고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야 할 것이다. 만약 사범대에서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지도하여 누구나 지리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있다 하더라도 현 사회가 무한 경쟁 시대이고, 졸업자들의 대다수가 임용 실패 등의 이유로 한번 써먹지도 못한다면 과연 지리교육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 할 수 있을까?
참고 자료
곽영우외 8명, 1996 한국 교원교육의 정체성 탐색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사교육, pp.1-140
곽차섭, 사범대문제의 대한은 무엇인가
권동희, 2000, 대학교육의 정상화와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정체성,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원 제15집 pp.64~79
김재광외 7명, 1992, 「21세기를 향한 지리교육의 방향」학술토론회, 지리학 제 27권 1호 pp,64~74
류재명, 2000, 지리교육과 삶의 질:21세기 지리교육의 관계, 대한지리학회지 제 35권 제 2호 pp.341-349
박선미, 2004,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지리 수업 운영의 특성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9권 4호
박희두?강창숙?이은진, 2005, 제7차 중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적용과 운영의 실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1), pp.1~10
이종원, 2000, 지리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사회과 교육 33호 pp.379-400
제경숙, 1991, 사범대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 교육이론과 실천1(‘91.9) pp,23-24
진시원?이종미, 2007,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평과와 통합 사회과의 미래, 시민교육연구, 제 40권 2호 pp.223~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