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한국불교와 건축사
1. 고대건축
1) 낙랑의 건축
2) 고구려의 건축
3) 고신라의 건축
2. 중고대 건축
Ⅲ. 한국불교와 사찰관리
Ⅳ. 한국불교와 기독교신앙
1. 혼합절충주의(특히 이조 후기 불교)
2. 공리적 현실주의
Ⅴ. 한국불교와 삼국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Ⅵ. 한국불교와 원효대사
Ⅶ. 한국불교와 화엄사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우주의 근본 원리 또는 인간의 생사와 같은 문제를 해명해 주는 것을 종교 사상이라고 부르고, 그에 입각한 실천 행동을 종교 행동이라고 한다.
불교에서는 이것을 각각 해(解, 이론)와 행(行, 실천)이라는 말로 부른다. 종교 행동은 종교 사상에 의해서 행해지므로 전 자의 목표와 방법은 후자의 가치 내용에 의해서 전적으로 결정 된다.
불교에서 종교 사상에 해당되는 것은 연기론(緣起論)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연기론은 인간에게 생사의 괴로움이 있게 된 근본 원인을 밝혀 주고 있기 때문이다. 불교의 종교 사상이 이렇게 연기론이라면, 그의 실천적 교설이 어떤 목표를 향해 어떤 방법을 채택할 것인가는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가 있다.
불교의 연기론에 의하면 인간의 생사 괴로움은 진리에 대한 무지 즉 자기 마음속의 무명에서 발생한 것이므로 무지의 타파를 통해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따라서 불교에 있어서의 실천 행동의 목표는 무명을 타파한 세계 즉 열반에 있고, 그 방법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무명 번뇌를 멸하는 자력(自力)적인 성격을 띠게 될 것은 물론이다.
연기 사상에 입각한 불교의 이러한 실천 행동은 신을 중심으로 한 종교의 실천 행동과는 본질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유신론적 종교의 실천 행동에서는 신에 대한 절대적인 신앙, 기도, 제사 등이 주축이 되고 신의 구제를 통해서만이 비로소 종교적 목적이 달성된다. 그러나 불교의 자력적 수행에는 염불, 발원, 선정 등이 중심이 되고 궁극적 깨달음에 이르러 그 목적이 실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해(解)에 못지않게 행(行)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된다. 신을 중심으로 한 종교와는 달리, 자신의 노력이 아니고는 아무도 그를 구제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행이없는 해는 한낱 희론에 불과하다고 경계됨은 이 때문이다. 따라서 석가모니께서는 이론(解)에 해당되는 교설을 베푸실 때마다 그에 상응한 실천(行)을 반드시 함께 설해 주고 계신다.
그리하여 불교의 초기 경전에는 사념처(四念處),사정단(四正斷),사신족(四神足),오근(五根),오력(五力),칠각지(七覺支),팔정도(八正道)[이상 三十七助道品] 등을 포함한 실천적 교설이 무수하게 설해져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십업설(十業說)과 사제설(四諦說)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십업설은 세속적인 사회윤리에 관한 대표적인 교설이며, 사제설은 생사 괴로움의 근본적 멸진에 향하는 대표적 수행의 길이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김형효(2010) / 원효대사의 사유 논리와 한국의 정신적 상황, 대한불교진흥원
· 길희성 외 1명(2011) / 한국불교의 특성과 정신 : 한국인의 역사와 삶 속의 역할을 중심으로, 대한민국학술원
· 목정배(1996) / 한국불교와 법화경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중심하여, 동국대학교
· 이영경 외 3명(2011) / 한국의 전통사찰 : 전통사찰의 공익적 가치평가 및 관리,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 이도흠(2011) / 한국 불교의 생명·생태 사상과 그 실천 운동,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전영숙(2002) / 화엄불교사상의 가족치료학적 해석과 그 적용, 한국가족치료학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