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불상][불교][불상][부처][원불교][불교복지][기독교][교회][천주교][이슬람교][종교]불교불상의 개념, 불교불상의 역사적 의미, 불교불상의 유형, 불교불상의 수인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4.12
- 최종 저작일
- 2013.04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개요
Ⅱ. 불교불상의 개념
Ⅲ. 불교불상의 역사적 의미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Ⅳ. 불교불상의 유형
1. 여래상(如來像)
1)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2) 비로자나불(毘盧蔗那佛)
2. 보살상(菩薩像)
1) 문수보살(文殊菩薩)
2) 보현보살(普賢菩薩)
3) 관음보살(觀音菩薩)
Ⅴ. 불교불상의 수인
1. 지권인
2. 항마촉지인
3. 여원인과 시무외인
4. 전법륜인(길상인)
5. 법계정인(선정인)
6. 설법인
7. 합장인
8. 연화합장인
9. 금강합장인
10. 금강권인
11. 아미타정인(九品印)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교건축을 조영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 세상에 불국정토를 실현하는 데 있으며, 따라서 사찰의 구성형식은 불교적 우주관 또는 세계관이 물질적으로 형상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의 불교적 우주관은, 번뇌와 악업의 경중에 따라서 지옥, 인간계, 하늘나라의 3계로 구성되어 있다는 고대 인도인의 세계관을 수용하여 불교적 관점에서 체계화한 것으로, 수미산설로 요약된다.
수미산설은 가상의 산인 수미산의 위쪽으로 28개의 하늘을 두고, 수미산 기슭을 인간과 축생의 세계, 땅 밑에는 지옥이 있다고 보고, 28개의 하늘나라 위를 부처님의 경지로 삼았던 것이다.
<중 략>
觀音보살과 勢至보살은 아미타여래의 補處菩薩이며 日光보살과 月光보살은 약사여래의 보처보살이며 彌勒보살은 석가여래의 보처보살이다. 이와 같이 補處의 보살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모든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근거에서 많은 보살을 인정한 결과이고 소승불교에서는 부처는 오직 석가여래 한 분이고 석가여래 성도하기 전에는 보살이요 그 뒤를 이을 보살은 오직 미륵보살 한 분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보살상은 대승불교의 특징을 상징하는 보디사트바(bodhisattva)를 도상화한 상으로 수많은 보살상이 만들어졌는데
<중 략>
10. 금강권인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에 넣고 다른 네 손가락으로 싸쥐는 것으로 금강계 대일여래의 오른손 수인이다. 양부 중에는 금강계에 속하고, 이지 중에는 지를 표하여 금강같이 견고함을 가리킨 것으로 이렇게 이름하였다.
11. 아미타정인(九品印)
미타정인은 아미타불의 수인인데, 좌선자세에서 양손의 검지를 꼬부려 손가락 끝을 붙이되 검지의 등이 서로 맞닿도록 하는 상품상생인을 비롯하여 아홉 가지의 모양이 있다. 이것은 구품인이라 하여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아홉 가지의 차별을 의미하는데, 상품, 중품, 하품을 각각 상, 중, 하 로 세분한 아홉 가지이다
참고 자료
문명대(1976) : 불상의 개념, 법륜사
박홍국(2005) : 수인이 법의에 가려진 신라 불상 소고,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서울대학교박물관 외 1명(2007) : 불상, 지혜와 자비의 몸 : 중국 불교조각 1500년, 서울대학교박물관
이주형(2009) : 불교미술에서 보는 붓다관(觀) : 불상,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장충식(1983) : 한국의 불상,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최인선(2008) : 조선 후기의 불상,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