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1. 중수란?
일반적으로 알려진 중수라는 말은 개별주택, 공동주택, 상업용 건물에서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재이용수를 일반적으로 칭하는데 중수도는 상하수도의 중간개념을 가진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중수는 물의 자연순환 주기에서 개별적으로 순환주기를 단축하거나 인공적으로 순환을 가속시켜 그 건물에서 발생하는 물을 재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건물에서 배출한 물을 건물 내에서 재처리하여 다시 사용하는 것이다. 기존 상수도에서 급수되고? 있는 많은 용수 중에서 반드시 음료수와 똑같은 정도의 청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에 적합한 수질의 물을 급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수도의 가장 큰 용도는 수세식화장실 용도로 직접 사람의 피부에 닿지 않고 수돗물보다 수질이 떨어져도 이용에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중 략>
3. 미국의 중수도 적용사례
미국은 이미 1926년부터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시작하였다. 대부분 용수확보가 곤란한 아리조나 및 택사스주와 같은 남부 및 남서부 지역에서 실시되었으나, 플로리다주 및 남부 캐롤라이나주와 같은 습윤지역에서도 수질오염 방지를 목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미국의 재이용에 있어서 특징은 보건위생상 처리수를 주로 관개용이나 공원과 골프장의 살수용수와 같은 비음용수로 이용하여 왔으나, 덴버와 같은 용수원의 확보가 어려운 일부지역에서는 음용수로도 재이용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1984년에 Demo plant가 운영되어 성능 및 안정성이 검토되었다(U.S. EPA, 1992).
미국에서 도시용수로서 재이용을 처음 실시한 도시는 플로리다주의 피터스버그시이다. 1977년 탬퍼만으로의 하수처리수 배출을 중단하거나 하수처리수를 고도화할 필요성에 의해 zero- discharge 정책을 세워 1978년부터 중수설비를 보급하기 시작하였다(EPA, 199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