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아동문학,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자연주의문학,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일본한문학,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일본신파극,남북국시대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4.01
- 최종 저작일
- 2013.04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목차
Ⅰ. 개요
Ⅱ.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아동문학
1. 이와야 사자나미의 도태랑주의
2. 방정환의 동심주의
Ⅲ.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자연주의문학
1. 용어
2. 외래문화 수용의 여건상의 차이
3. 자연주의의 발생여건
Ⅳ.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일본한문학
Ⅴ.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일본신파극
Ⅵ.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남북국시대
1. 신라와 일본간의 사신왕래 및 창화
2. 발해와 일본간의 사신왕래 및 창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문학을 리터래처의 역어라고 전제한 이광수가 「문학이란 하오」에서 우선 주장하고 있는 것은 문학과 학문 혹은 과학의 구별이다. ‘문학의 정의’라는 절에서 그는 “물리, 박물, 지리, 역사, 법률, 윤리 등의 과학적 지식을 기록한 자는 문학이라 위키 불득하며, 오직 인으로의 사상과 감정을 기록한 것이라야 문학이라 함을 위함이로다”, “문학은 실로 학이 아니니 대개 학이라 하면 모사 혹은 모물을 대상으로 하여 기 사물의 구조, 성질, 기원, 발전을 연구하는 것이로되, 문학은 모 사물을 연구함이 아니라 감각함”이라고 말하고 있다(507-508). 이광수의 문학 정의는 리터래처라는 용어가 한국의 문학론에 도입되어 일어난 가장 중요한 변화가 문학과 학문의 개념적 분별이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리터래처가 그러한 개념적 분별을 낳았다는 것은 역사적 우연에 가깝다. 리터래처야말로 실은 한자어 문학과 마찬가지로 학문의 의미를 오래도록 지녀온 어휘이기 때문이다. 리터래처는 알다시피 문자라는 뜻의 리테라(literra)를 어근으로 하는 라틴어 리테라투라(literratura)에서 파생된 말이다. 리테라투라는 글에 관한 교양 혹은 박학을 뜻했으며, 신성한 경전과 대조되는 세속적 저작이라는 뜻도 아울러 가지고 있었다. 리테라투라의 그러한 의미는 거기에서 파생된 영어와 그 밖의 유럽어 낱말에도 이월되었다. 리터래처는 14세기부터 독서로 얻은 박학이라는 뜻으로 영어에 들어와 쓰였으며, 그 어의의 결정적인 변화는 근대에 들어 비로소 일어났다. 그것은 18세기를 거치면서 박학이라는 일반적 단어에서 일정한 종류의 저작을 가리키는 특수한 단어로 바뀌었다.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종류의 저작을 뜻하는 동시에 시, 소설, 극 등의 장르를 포괄하는 리터래처 개념은 18세기 이전에는 출현하지 않았으며, 19세기에 들어서 비로소 충분히 발전되었다. 이광수가 문학이란 리터래처의 역어라고 했을 때 그가 염두에 두고 있었던 리터래처는 물론 19세기 이후 특수화된 의미에서의 리터래처이다. 그렇다면 리터래처를 문학이라고 옮기는 것은 부적절한 번역이었는지도 모른다. 전통적으로 학문을 뜻하는 숙어인 문학을 리터래처의 역어로 사용하는 것은 그것의 근대적 개념을 모호하게 만들 소지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광수는 그러한 번역에 조금도 의문을 갖지 않았다. 그의 문학이란 용어의 배경에는 역어로서의 문학, 근대적 개념으로서의 문학을 성립시킨 일본쪽의 사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김윤지 / 한·일 자연주의 소설 비교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11
김태준 / 근대화와 한일문학의 비교, 일본문제연구소, 1975
양승국 / 한국 근대문학 형성에 미친 일본 신파극의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2001
오오타케 키요미 / 한일 아동문학 관계사 서설, 청운, 2006
최광준 / 고대한일문학과 문학적 풍토, 신라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99
한재룡 / 일본한문학의 정착과정에 관한 고찰, 경남대학교,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