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품질경영][국방관리][보잉 A&T][미국]국방품질경영과 국방관리, 국방품질경영과 말콤볼드리지상, 국방품질경영과 보잉 에어리프트&탱커(보잉 A&T), 국방품질경영과 미국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3.29
- 최종 저작일
- 2013.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개요
Ⅱ. 국방품질경영과 국방관리
1. 미래전에 대비한 국방정보화 체계 기반 구축
2. 군수조달의 경쟁체제 구축
3. 민간자원 활용과 물자 동원능력 확충
Ⅲ. 국방품질경영과 말콤볼드리지상
Ⅳ. 국방품질경영과 보잉 에어리프트&탱커(보잉 A&T)
1. 정보와 자료의 선택과 이용
2. 비교정보와 자료의 선택과 사용
1) 보잉 A&T에서 최상
2) 산업에서 최상
3) 세계 일류
Ⅴ. 국방품질경영과 미국
1. 미 육군 품질경영 기본정신
2. 혁신 4대 원칙
3. 미 육군 품질경영 포상제도
1) 대통령 품질상(PQA : The President’s Quality Award)
2) 부통령 개혁 해머상(The Vice President’s Hammer Award for Reinvention)
3) 국방장관 생산성 대상(The Secretary of Defense Productivity Excellence Award)
4) 국방성 가치공학상(Department of Defense Value Engineering Award)
5) 육군 최우수 프로그램(The Army Communities of Excellence Program)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방부가 마련한 국방개혁안이 대폭적인 국방비 증액을 동반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고가(高價)의 첨단무기들을 대거 도입?생산하려는데 있다. 고가의 무기 및 장비 체계에는 크게 타격(PGM)과 정보 감시(ISR), 그리고 지휘 통제(C4I)로 나뉜다. 한국군이 다른 전력에 비해 정보 감시 및 지휘 통제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이들 분야의 전력 증강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타격 능력을 현재보다 1.8배로 늘리겠다는 것은 필요하지도 않을뿐더러 위험하기까지 하다.
국방부가 대대적인 타격 능력의 증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근거는 여전히 북한보다 군사력이 열세에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중 략>
보잉 A&T사의 성과관리 시스템은 기업의 모든 분야에서 측정한 자료들을 전부 관리한다. 그림에서 보듯이 통합 계획 프로세스는 기업의 요구와 기대하는 바를 고려하여서 기업의 성과목표, 성과척도, 기대값,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이러한 기업의 성과목표, 성과척도, 기대값은 보잉A&T사 여러 프로그램과 기능별 조직의 운영에 반영되고, 이 모든 데이터와 정보들이 각 단계에서 고객과 공급업체와 공유된다. 프로그램과 기능적 조직에서의 성과목표, 성과척도, 기대값들은 하부의 지원팀 운영에 반영되며 지원팀은 이들을 자기 팀의 측정지표와 목표설정에 반영한다.
보잉사의 성과관리시스템은 기업목표를 지원하는 성과측정 데이터와 정보를 다음의 다섯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한다.
<중 략>
3) 국방장관 생산성 대상(The Secretary of Defense Productivity Excellence Award)
국방 업무의 품질 및 생산성에 현저한 공헌을 한 개인 혹은 팀에 국방장관이 수여하는 상이다.
4) 국방성 가치공학상(Department of Defense Value Engineering Award)
국방업무와 관련된 제품, 프로세스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우수 제안을 한 공무원 혹은 계약업체 임직원에게 국방성이 수여하는 상이다.
5) 육군 최우수 프로그램(The Army Communities of Excellence Program)
참고 자료
김덕환, QFD를 활용한 품질경영 : QFD의 국방품질경영에 활용방안, 국방기술품질원, 2009
노재용 외 1명,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 2011
박성현, 국방품질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가치창조 경영, 국방기술품질원, 2009
심경욱, 글로벌 코리아에 걸맞는 국방품질경영, 국방기술품질원, 2008
이영호,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2009
정신영, 국방품질경영시스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시스템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