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와 이미지메이킹(5.31 지방선거와 16대 대선 중심)
- 최초 등록일
- 2013.03.29
- 최종 저작일
- 2008.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선거에 반영되는 Image Making
목차
1. 심리학 이론을 통해 본 Image Making
2. 현재 대선 주자들이 사용하는 Image Making
3. 이미지가 주가 된 선거 과연 바람직한가?
본문내용
1. 심리학 이론을 통해 본 Image Making
- 5.31지방선거와 16대 대선을 중심으로 -
#정치광고와 이미지
미디어 선거의 방향
정치광고 - TV토론회 - 찬조연설
우리나라에서 신문 정치광고가 처음으로 사용된 선거는 1948년 5.10 총선거이며, 정치 선진국처럼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과학적 선거캠페인 전략수립이 가능해진 때는 전문 광고 대행사가 광고제작에 참여한 1987년 제 13대 대통령선거부터이다(오두범, 1988). 방송 정치광고는 1992년 14대 대통령선거에서 처음 허용되어 본격적인 정치광고 시대가 개막되었다.
1) 정치광고의 기능
데블린(Devlin, 1986)에 의하면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는 정치광고를 이용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의사결정이 늦은 유권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지의 정도를 강화시키고, 경쟁자를 공격하고, 이슈를 개발하고 설명하며, 후보자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특정 집단을 겨냥할 수 있으며, 정치자금을 모금할 수 있다. 그런데 데블린이 제시한 정치광고의 다양한 기능들은 때로는 중복된다. 정치자금을 모금하기 위해서는 특정정책에 대한 경쟁후보의 입장을 비판하거나 리더로서의 자질 부족을 거론함으로써 차별화를 시도해야 하기 때문이다.
2) 정치광고의 내용적 분석
ㄱ. 긍정광고
후보자 자신에 대한 지지를 촉진하기 위한 긍정광고
ㄴ. 부정광고
특정 이슈에 대한 상대방의 입장 혹은 경쟁후보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공격하는 부정광고
ㄷ. 이슈광고
이슈는 후보자나 정당이 제시하는 정책과 관련된 논점 또는 논쟁점으로서 ‘특정 정책에 대한 언급’으로 정의되며, 이는 광고의 정보제공 기능과 관계가 깊다. 따라서 이슈광고는 정부정책이나 선거의 쟁점이 되는 사안에 대한 특정 후보자나 정당의 주장 내지는 입장 을 강조한 광고로 개념화 할 수 있다(김춘식, 2002).
참고 자료
정치광고와 상업광고에 응용되는 사회심리학적 ,나은영(Eun Yeong Na), 2001
정치광고의 메시지 특성에 관한 연구 박종렬 / 韓國放送廣告公社 / 1995
사회심리학의 이해, 한규석, 학지사.2006
정치광고의 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김무곤 / 韓國放送廣告公社 / 1997 /
정치광고에 대한 유권자의 태도유형 연구 박종렬 / 韓國放送廣告公社 / 1998
미디어 선거와 이미지 정치: 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재단.2004.최민재 송미옥
http://blog.naver.com/manmand?Redirect=Log&logNo=40031518957
http://news.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200701/01/hankooki/v15242953.html
www.hannara.or.kr
http://media.nosamo.org/medialist04.asp?Page=12
http://www.changsarang.com/sub14.html?f_mode=&mode=view&code=csyounggallery&s_f=&page=2&number=9&keyfield=&key=&sort_name=&sort_name1=&sort_type=de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