Ⅴ. 말초신경과 추간판탈출증(디스크)
1. 병태 생리
2. 증상
1) 요통
2) 방사통
3. 진단 방법
1) 하지 직거상 검사
2) 신경근 검사
3) X선 촬영
4) 그 밖의 촬영
5) 근전도 검사
6) 동위원소 검사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뇌에 대한 연구는 여러 방면에서 쉴 새 없이 실시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뇌의 신비를 밝히려는 수많은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광활한 우주의 생성 신비를 밝히고자 하는 미래의 우주 연구와 우주 전체보다 더 넓고 창조력을 가진 뇌의 신비를 밝히고자 하는 뇌연구는 생명의 신비를 밝히는 일뿐만 아니라 뇌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며 인간 정체(identity)를 밝히게 될 것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과학 기술 연방 조정위에서 「인간 잠재력을 위한 뇌연구 10년」이란 보고서를 발간한 뒤 활발하게 연구중이며 국립보건원(NIH)과 국립과학재단(NSF)에서는 「학습과 지능에 관한 다학문적 연구」를 96년부터 10년간의 계획으로 진행중이다. 또 미국의 많은 의료기관에서 T.T(Therapeutic Touch)라는 이름으로 기(氣)치료를 행하고 있고 의학박사 디팩쵸프라는 인도의 “아유르베다”를 현대의학에 접목시켜 「심신상관의학」프로그램을 보급하고 있다.
< 중 략 >
Ⅵ. 결론
뇌는 신경계의 정점이다. 두 개골 안에 담긴 큰 기관으로 뇌에는 지각, 학습, 언어, 사고 등의 인지 활동은 물론 감각과 운동을 통제하는 영역들이 있고, 희노애락의 정서 활동이 이루어진다. 진화상 가장 최근에 발달한 뇌의 신피질은 뇌가 갖고 있는 전 뉴런의 약 4분의 3인 90억 개를 가지고 있다고 추정된다. 신경생리학과 생리심리학의 연구 방법의 발전에 의해 뇌의 구조와 기능을 둘러싼 신비가 점차 밝혀지고 있다. 대략 네 가지 연구 방법들이 많이 쓰이고 있다. 그 첫째는 살아있는 인간 또는 동물의 뇌의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는 법, 둘째는 뇌의 일부를 절단 또는 파괴하여 이것이 유기채의 정신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 셋째는 뇌의 여러 부위에 전극을 꽂고 어떤 대상에 대한 특정 부위에 세포들의 전기적 반응을 기록하는 것 및 넷째 단층촬영법이다.
참고자료
· 김은아(2005), 직업성 신경계질환 : 말초신경염, 대한산업보건협회
· 김현주(1999), 저농도 노말헥산의 만성폭로가 말초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 노지혜(2011), 분노 자극에 의한 알코올 중독자의 중추 및 말초 신경계 반응 특성, 충남대학교
· 산야경수(2009), 말초신경의 임상, 대한의학서적
· 서광선(1985), 말초신경계 종양 의 병리학적 검색,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 M. D. O BRIEN 저, 이평복 역(2011), 말초신경계 검사 지침서, 메디안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