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품(시문학, 시)의 정의, 시작품(시문학, 시)의 갈래, 시작품(시문학, 시)의 언어, 시작품(시문학, 시)의 심상, 시작품(시문학,시)과 시인, 시작품(시문학,시)의 모티브
- 최초 등록일
- 2013.03.25
- 최종 저작일
- 2013.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개요
Ⅱ. 시작품(시문학, 시)의 정의
Ⅲ. 시작품(시문학, 시)의 갈래
Ⅳ. 시작품(시문학, 시)의 언어
Ⅴ. 시작품(시문학, 시)의 심상
Ⅵ. 시작품(시문학, 시)과 시인
Ⅶ. 시작품(시문학, 시)의 모티브
Ⅷ. 시작품(시문학, 시)의 이미지
본문내용
시에는 말놀이의 요소가 있기 마련이지만 그 최고의 경지는 고난도 경기나 순수 놀이의 경지 이상으로 우리를 황홀하게 하고 감동시킨다. 인간정신의 가능성과 기율에 의한 탄복할 만한 언어 관장과 거기 바쳐진 인간의 노력의 흔적은 뜻있고 아름다운 것이다. 다시 이야기해서, 유인원부터 출발해서 오늘의 우리가 있기까지의 인류가 탐구하고 시도하고 성취한 노력의 흔적이 그 속에 고스란히 겹쳐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솜씨 없음은 허용이 되지만, 정성 없음은 용서할 수 없는 것처럼 재주 없음은 보는 이를 안타깝게 하지만 성의 없음은 우리를 불쾌하게 하는 것처럼 인간을 고귀하게 하려는 노력과 기율과 안목에 대한 원초적인 불경(不敬)은 용서될 수 없는 것이다.
<중 략>
한글이 민족 생활의 중심으로 육박하게 된 시기는 일제 강점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이른바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에 기인한 민족 문화 말살 책동으로 인해서 모어가 다시 생존 차원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일제의 창씨개명과 조선어 사용 금지 조처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국어는 다행히도 선각적인 국어학자와 문인들, 특히 시인들의 노력에 의하여 생존적인 차원에서 생활어의 차원으로, 다시 예술어의 차원으로 상승해 가기 시작하였다. 많은 시인들이 민족어로서 우리말, 우리글을 갈고 닦음으로써 우리말, 우리글의 문학적 훈련이 본격화되었고, 예술어로서의 진가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중 략>
그러나 상상력은 어디까지나 상상력일 뿐이다. 이미지 그 자체는 아니다. 이미지는 어디까지나 언어로써 나타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상상의 결과가 언어로써 나타나는 것이 이미지이다.
이미지에 대한 복수의 개념으로서 이미저리를 다음과 같이 나눈다. 감각적인 면에서 시각적,미각적,청각적,후각적,촉각적,근육운동지각으로, 내용면에서 정신적 이미저리, 비유적 이미저리, 상징적 이미저리가 그것이다.
정신적 이미저리 안에 시각적, 청각적, 미각적 등의 것이 다 포함되며, 비유적 이미저리 안에 제유, 환유, 직유, 은유 등을 들 수 있다
참고 자료
강호정(2012), 해방기 시에 나타난 시와 시인의 위상, 한국시학회
이승복(2006), 시의 갈래와 재인식, 시문학사
이혜영(2010), 시의 이미지 교육 방법 연구, 아주대학교
왕소서(2008), 중국고체시와 현대시의 언어 차이와 그 미학 추구, 중국어문논역학회
정두홍(2002), 시의 모티브와 시상, 서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최종수(1979), 시와 심상, 총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