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개념,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형식,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와 수용이론,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와 설화,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와 가사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3.25
- 최종 저작일
- 2013.03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개념
Ⅲ.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형식
1. 운
2. 리듬
3. 율격
Ⅳ.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와 수용이론
Ⅴ.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와 설화
Ⅵ.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와 가사
Ⅶ. 결론
본문내용
조선조 개국으로부터 삭대엽이 발달하기 시작한 숙종조 이전까지는 유장한 리듬의 中大葉이 유행하던 때였고 성리학이 꽃을 피운 시기였기 때문에 사대부들의 詩歌인 樂章, 景幾體歌, 時調, 歌辭가 한껏 발달하여 절정에 이른 시기였다.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내세운 신흥사대부들은 조선왕조의 창업을 정당화하고 새 왕조의 무궁한 번성을 빌기 위해 악장의 제작에 힘을 썼다. 鄭道傳에 의하여 <納氏歌>, <窮獸奔>, <靖東方曲>, <文德曲>, <新都歌> 등이 지어졌고 이어서 權近의 <天監>, <華山>, <霜臺別曲>, 河崙의 <覲天庭>, <受明命>, 卞季良의 < 賀皇恩曲>, <華山別曲>, 尹淮의 <鳳凰吟> 등이 제작되었다.
<중 략>
1980년대에 들어 율격의 본질 및 체계와 율격양식들의 양상 및 성격을 체계적으로 살핀 본격적 연구가 成基玉(1980?1986)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한국시가의 율격양식을 ‘同量步格’과 ‘層量步格’으로 나누고, 上代가요나 4구체 향가 등을 4음 2보격으로, 대다수의 고려시가들은 4음 3보격으로, 시조?가사 등은 4음 4보격으로 파악했다. 그리고 한국시가사에서 2보격(특히 4음 2보격)이 가장 오랜 전통을 지녔고, 4보격이 가장 늦게 형성된 것이며, 간헐적으로 계승된 3보격은 민요가 그 담당 주체였다고 보았다.
<중 략>
한국시가의 형식에 관한 연구는 1920년대 후반 이래 최근까지 많은 성과를 축적해 왔지만, 그 주요 성과의 대부분은 한국시가의 리듬 형성자질 모색과 율격 현상들의 유형별 분류 등에 집중되었다. 시행 및 시편의 구성에 대한 연구는 본격화되지 못하여, 대체로 구성 양상의 외형적 현상을 부분적으로 지적하는 데 그치고, 그 구성원리와 성질에 대한 고찰이나 한국시가의 전체적 양상을 살핌에는 소홀히 한 편이이다.
앞으로 연구에서는 시 형식의 일반이론을 기본 바탕으로 하면서도 한국시가의 특성을 고려하는 보다 진전된 연구방법이 탐색?개발되어야 하며, 그 연구가 몇몇 특정 영역에만 치우치지 않고 시 형식의 전 영역에 걸쳐 균형있게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김학성 외,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고정희, 고전시가와 민족정서 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류해춘,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공감과 소통, 우리문학회, 2012
박연호, 한국고전시가의 문화적 접근,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염은열,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