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 시설 환경학] 양돈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최초 등록일
- 2002.12.12
- 최종 저작일
- 2002.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축산시설 환경학 수업 리포트 관련자료입니다~
최근 돈사시설의 문제점을 현 시점에서 살펴보았습니다~
참조하시구 지니의 홈으로 문의 주세염~!!
http://geenie2002.hihome.com
목차
◎ 서론
◎ 본론
1. 양돈시설 자동화 설계시 유의사항
2. 기존 돈사의 리모델링시 고려사항
① 단열
② 환기시설
③ 계절별 환기개선 방향 및 방법
⊙ 여름철
ⅰ) 입기구
ⅱ) 배기구
⊙ 겨울철
ⅰ) 입기구
ⅱ) 배기구
3. 돈사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와 개선방안
① 밀사로 인한 문제
② 환기시설이 부족한 경우
③ 돈사가 서로 붙어있는 경우
④ 계곡이나 산과 붙어있는 돈사
⑤ 계단식 돈사
⑥ 입기, 배기의 위치
⑦ 배기휀의 청소불량
⑧ 문제의 해결
4.무창돈사의 환기시설
5. 돈사의 바닥재
① 바닥재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
② 슬랏 설치시 주의할 점
③ 돈사바닥재와 발의 손상
◎ 결론
본문내용
1990년대 들어와 우리 나라는 외국(유럽·미국)에서 무창돈사와 시설자동화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양돈농가들 대부분은 더럽고, 힘들고, 오염된 3D 현상에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경제현황과 맞물려 돈사를 건축하기 시작하였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환기시스템의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양돈의 발전을 바라기에는 한계에 도달하였다. 특히 축산인들의 환기지식 부족 등으로 인하여 비전문가들의 현란한 판매전략에 대부분 동의를 하여 지금과 같은 효율이 낮은(외형만 큰) 돈사를 건축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양돈에서 환기와 관련된 이론을 현장에 접목시킨다는 것은 필요하면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돈사구조, 분뇨처리방식, 환경, 관리자의 기술 등이 작용되고 있으며, 갑자기 발생하는 정전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농가에서는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시행착오를 되풀이하는 일이 많이 발생하기도 한다. 잘못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만 돈이 들어가는 문제이기 때문에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자구적 노력이 선행됨은 물론이며 범 국가적 차원에서 정부의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이러한 노력은 양돈농가의 "돼지는 돼지처럼 키워야 한다" 는 페러다임을 깨는 자구적 노력이 선행됨은 물론이며 범 국가적 차원에서 정부의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
참고 자료
http://www.jaebae.com/manage-bil7.htm (돈사시설) - 21세기 신지식 농업경영 팜스 코리아
무창돈사 환기구조 개선 - 농촌진흥청 농업기계화연구소 생물생 산기계과 이 성현
돈사 리모델링시 환기시설의 방향 - 축산기술연구소 축산환경과 송 준 익 박사, 2002년 4월
현장에서 환기관리(월간 양돈 진흥) - 도드람양돈축협 동물병원장 정현규 2000년 8월
돈사바닥재로서의 전면 콘크리트와 슬랏의 비교 - Veterinary Record 114호, 199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