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의 모든 것 (정의, 구성, 기원 등)
- 최초 등록일
- 2013.03.18
- 최종 저작일
- 2013.0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판소리의 명칭과 개념
2. 판소리의 연행예술적 특성
3. 판소리의 발생과 전개
4. 판소리의 민속 문학적 특징
5. 마무리
본문내용
* 판소리란 무엇인가?
: 판소리는 부채를 든 한 사람의 소리꾼이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 아니리, 발림을 고도로 조직하는 한편, 창자, 고수(북장단과 추임새), 청관중(추임새)이 서로 개입해 들어가면서 삼위일체가 되는 공연예술인 것이다.1)
1. 판소리의 명칭과 개념
(1) 판소리의 명칭과 개념
: 판소리를 가리키는 용어 - 소리, 광대소리, 타령, 잡가, 劇歌, 창악, 창극, 唱曲調, 優戱 등
→ 현재에는 ‘판소리’라는 명칭으로 굳어짐.
: ‘판’(다수가 모여 어떤 일을 벌리는 곳이나 정황, 행위 자체를 뜻함) + ‘소리’(음악을 뜻함)
<중 략>
설화와 판소리는 동일하게 청중 앞에서 흥미있는 이야기를 몸짓과 표정을 지어가며 연행 한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설화는 말로 구연하는 구비서사물인데 비하여 판소리는 말과 창을 섞어서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구연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설화기원설이 설득력 을 갖기 위해서는 말로만 구연되던 설화가 언제쯤 무슨 이유로 말과 노래를 교차해나가면 서 동작으로 적절하게 표현하는 구연하는 판소리식의 구연 형태로 바뀌어 졌는지를 밝혀야 한다.
즉 설화는 애초부터 노래로 불려진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중 략>
① 5명창 시대 (19세기 후기~20세기 초기)
박기홍 김창환 김채만 송만갑 이동백
고종대를 지나서 일제강점기에 이르면 판소리는 위축되어 확대해가던 작품의 종류가 줄어들게 된다. 20세기에 들어 신파극의 도래로 판소리는 변화되어가는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체변화를 모색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창극화로 나타났다. 1920년대 이후에는 유성기 보급에 따른 레코드 취입도 성행하여 판소리 보급이 활발하였지만 해방, 6?25 등으로 판소리는 침체된다. 판소리는 대중적 취향과 함께 계면화(슬픈가락으로의 변화)의 과정을 밟게 된다. 그리고 전국 주요 도시에 권번(기생조합)을 설치해 판소리를 가르치기 시작함으로써 다수의 여자 창자가 배출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