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매체(영화)로 보는 우리나라 다문화의 현실
- 최초 등록일
- 2013.03.14
- 최종 저작일
- 2012.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대중 매체 속에서 다뤄지고 있는 다문화의 현실에 대해 쓴 레포트입니다.
매스 미디어, 특히 그 중에 영화를 중심으로 현재 대한민국(우리나라)의 다문화 인식에 대해서 썼구요.
주된 목차는 현재 대중 매체(매스 미디어) 속 다문화를 서론으로
영화의 파급력, 그리고 실제 우리 나라 영화를 예로 들어 어떻게 다문화를 그려내고 있는지 본론에서 다루었습니다.
결론에서는 이런 다문화 인식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나름대로의 사견을 제시하여 보았습니다.
이 레포트 역시 A+를 받은 레포트 입니다.
참고한 도서와 저자, 그리고 영화 제목 등을 제일 뒤에 기재하였습니다.
목차
1. 매스미디어 속 다문화, 그리고 우리
2.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뭐다? 영화의 파급력
3. 다문화를 다룬 최근 영화 파헤치기 - 영화 반두비, 방가방가, 완득이
4. 우리의 인식, 그리고 다문화 정책은 어디로 가야할까?
본문내용
매스미디어(Mass media, 즉 대중매체). 신문·잡지·방송·영화·통신 등 수많은 매체 속에서 쏟아져 나오는 다양한 시각에서의 정보들. 당연한 이야기지만 복잡하고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모든 정보를 여기서 얻게 되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여러 가지 인식과 결정을 하게 된다. 이런 점을 고려했을 때, 대중매체는 그 시대의 사회현상과 문화를 바라보고 있는 주류사회의 시각을 적나라하게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사회의 현재는 어떠할까? 2007년 8월 24일.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공식적으로 100만 명을 넘어선 날이다. 현재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우리나라는 조금은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의 인식이 필요했다. 이와 더불어 대중매체에서도 다문화에 대해 다루기 시작했다.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시각 뿐 아니라 부정적 시각까지 포함하여 각각의 다른 시각으로 다루고 있긴 하지만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수긍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 중 략 >
즉, 아직까지 단일민족임을 운운하는 행동이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예로 부분적 이주 노동자의 일탈과 위법을 근거로 이주 노동자 전체가 잠재적인 범죄자라는 인식)는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영화를 보면서 느꼈던 것이, 어떻게 보면 조금씩 과장되고 극단화된 면이 있기야 하겠지만, 우리 사회에 뿌리박힌 사회적 편견이 참 무섭다는 생각이었다. 이슬람이라고 하면 바로 떠오르는 테러. 그리고 불법 체류자라고 하면 바로 떠오르는 범죄자. 그런 부정적 생각으로 우리는 그들을 온전히 하나의 인격으로 대할 근본적인 기회나 여지조차 머리 속에 남겨두질 않는 경우가 많다.
참고 자료
영화 반두비 (한국, 2009년)
영화 방가방가 (한국, 2010년)
영화 완득이 (한국, 2011년)
이현정 저, 우리의 미래 다문화에 달려있다 - 소울메이트
류정아 저, 다문화지표 개발연구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엄한진 저, 다문화사회론 -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