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논문 계획서] 남북한 사회 문화 통합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성*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남북한 사회 통합에 관한 연구 보고서 작성하기 위한 계획서입니다.목차
Ⅰ. 연구목적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범위
Ⅳ. 예상목차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연구목적북한은 우리에게 있어 단일민족으로서 공존공영하면서 통일을 지향해 나가야 할 존재인 동시에 체제와 이념을 달리하는 또 다른 국가로서의 모습을 지닌 이중적 존재다. 북한은 남한의 자본주의와는 다른 사회주의 사회체제를 추구함으로써 이질적인 사회문화적 생활공동체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남북한 사회의 이질화 현상을 극복하고 두 사회의 동질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특히 사회문화적 측면의 통일과정에 대한 준비와 대책이 필요하다.
분단국으로서 통일을 이룩한 독일, 예멘, 베트남이 통일 후 겪고 있는 여러 가지 후유증과 부작용은 우리의 통일과 관련하여 다각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독일은 통일 이후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서독인들 간의 마음의 장벽은 통일 이후 기대가 무너지면서 동독 사람들이 스스로를 독일의 ‘2류계급‘으로 의식하고 서독인들에 대해 심한 열등감을 갖게 했다. ’한 국가, 두 사회‘로 표현되는 현재 독일의 상황은 구 동독인들의 소외감과 자괴감이라는 사회·심리적 차원에 그 뿌리가 있다 조관홍, 이상우 공저, “독일의 내적 통일에 있어서 가치 상충의 근본원인과 그 양상에 관한 연구,” 『대동철학』, 제39집 (대동철학회, 2007. 6), 312쪽..
< 중 략 >
Ⅲ.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방법으로 하며, 연구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본 연구의 내용과 방향이 일치하는 기존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하여 재구성하고, 외국의 분단국 통합사례를 통해 사회문화 통합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네 개의 분단국, 즉 한국, 독일, 예멘, 베트남으로 삼고, 사회문화통합의 개념은 사회학자 기든스(Anthony Giddens),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의 정의를 원용하였다. 즉 사회문화 통합을 사회의 분화, 이질화, 분리, 차별, 불평등이 소멸되는 과정으로 규정하고,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동일한 사회공동체에 대한 정체감과 귀속감을 형성할 때 비로소 실현된다고 보았다.
참고 자료
<단행본>국가정보원, 『각국의 통일·체제전환 사례집』 (서울: 국가정보원, 2003).
김국신 외저, 『분단극복의 경험과 한반도 통일 1』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4).
민족통일연구원, 『남북한 사회, 문화공동체 형성 방안: 사회, 문화적 동질성 증대방안 중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2).
박영정·오양열·이우영 공저, 『남북 문화교류채널의 제도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송 자·이영선 공편, 『통일사회로 가는 길』 (서울: 오름, 1996).
안소니 기든스 저, 윤병철․박병래 공역, 『사회이론의 주요 쟁점』 (서울: 문예출판사, 2003).
안소니 기든스 저, 황명주․정희태․권진현 공역, 『사회구성론』 (서울: 저작아카데미, 1998).
이수혁, 『통일독일과의 대화』 (서울: 랜덤하우스중앙, 2006).
이우영, 『남북한 문화정책 비교 연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4).
이우영·손기웅·임순희 공저, 『남북한 평화공존을 위한 사회문화 교류협력의 활성화 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1).
이진우,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서울: 문예출판사, 1996).
장춘익 외저, 『하버마스의 사상: 주요 주제와 쟁점들』 (서울: 나남출판사, 1996).
전우택,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 통일에 대한 사회정신의학적 고찰』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J. C. Alexander. S. Seidman, Colture and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김정호, “북한의 사회실상과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 (경희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박영희,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박판근,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윤여령, “남북한 사회문화 통합을 위한 과제: 동질성 회복을 위하여,”『통일문제연구』, 통권 제30호 (평화문제연구소, 1998. 10).
이우영, “남북 사회 공동체의 진전 모색,”『통일경제』, 통권 제95호 (현대경제연구원, 2008. 12).
___, “북한의 사회주의문화 건설과 문화정책,”『역사문제연구』, 통권 13호 (역사문제연구소, 2004. 12).
이한우, “베트남 통일 후 사회통합과정의 문제: 남부의 사회주의적 개조에 대한 주민의 대응과 그 변용,” 『아세아연구』제50권 제3호 (통권 129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7. 9).
전미영, “남북 사회문화 통합을 위한 교류협력의 과제,”『통일문제연구』, 통권 제46호 (평화문제연구소, 2006).
전상인, “통일과 남북한의 사회통합,”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25호 (통일원 교육홍보국, 1996. 4).
조관홍, 이상우 공저, “독일의 내적 통일에 있어서 가치 상충의 근본원인과 그 양상에 관한 연구,” 『대동철학』제39집 (대동철학회, 2007. 6).
조한범, “남북한 사회문화 통합을 위한 제언,”『민족발전연구』, 제 9권 10호 (중앙대학교 민족발전연구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