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한글 맞춤법>의 개념과 규정
2.1. ‘한글 맞춤법’의 개념
2.2. ‘한글 맞춤법’의 규정
3. <한글 맞춤법>의 원리
3.1. 소리와 형태에 관한 표기 방법
3.2. 제3장 ‘소리에 관한 것’에서의 문제점
3.3. 제4장 ‘형태에 관한 것’에서의 문제점
4. 결 론
본문내용
1. 서 론
언어는 의사소통의 기능을 한다. 즉, 언어는 화자가 특정한 의미를 음성 기호에 담아서 말(메세지)의 형태로 전달하는 사회적인 약속 체계라고 할 수 있다. 곧 그 언어를 사용하는 구성원들이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한 국가에서 쓰이는 언어 기호를 하나의 사회적 약속 체계로서 표준화한 것이 ‘표준어’와 ‘맞춤법’이다.
(1) ‘표준어’ 및 ‘맞춤법’ 규정
ㄱ. <표준어 사정 원칙>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 으로 한다.
ㄴ. <한글 맞춤법>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표준어의 개념을 위의 (1ㄱ)처럼 규정하면서 입말을 중심으로 언어를 표준화한 것으로 보고 있고, 한글 맞춤법은 (1ㄴ)과 같이 규정함으로써 입말을 적는 방법을 표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올바른 언어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위의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를 바로 알아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중 한글 맞춤법의 개념과 규정을 살펴보고, 한글 맞춤법 중 소리와 형태에 관한 규칙의 문제점을 분석해 볼 것이다.
2. <한글 맞춤법>의 개념과 규정
2.1. ‘한글 맞춤법’의 개념
‘맞춤법’과 관련된 용어에는 ‘표기법, 정서법, 철자법’ 등이 있는데 각각은 서로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가장 최근에 발행된 사전인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서 ‘맞춤법’은 글자를 사용할 때 바르게 적기 위한 규칙, ‘표기법’은 글자나 부호로 언어를 적어 나타내는 규칙이나 방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정서법’은 언어를 문자로 적을 때 일정한 원칙에 맞도록 쓰는 법, ‘철자법’은 입말을 글자로 옮겨 쓸 때 지켜야 하는 일정한 규칙’, ‘한글 맞춤법’은 한글로써 우리말을 표기하는 규칙의 전반을 이르는 말로 정의한다.
참고 자료
국립국어원(2011),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원.
국어연구소(1988), 『한글 맞춤법 해설』, 서울: 국어연구소.
김미향(2005), “표기 오류 실태 분석을 통한 한글 맞춤법 지도 연구”, 석사학위논문,공주대학교.
김양규(2008), “한글 맞춤법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민현식(1993),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에 대하여”, 한국학 연구, 숙명여대 한국학연구소.
엄태수(2009),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새국어교육 83,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승주(1994),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한 맞춤법 표기 및 표준어 사용 실태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원수(1997), “한글 맞춤법과 관련된 몇 문제”, 언어 18, 충남대학교어학연구소.
조미경(2004), “한글 맞춤법 교육과 사용 실태 분석 및 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홍순선(1999), “현행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 몇 가지”, 한국학협회 26,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