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문제C]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개발되어온 역사와 개발이 가져온 이득과 함께 개발로 인해 생겨난 사회문제들 및 대안적인 방향 모색
*승*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사회문제C]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개발되어온 역사를 조사하고 개발이 가져온 이득과 함께 개발로 인해 생겨난 사회문제들에 대해 살펴본 후에, 대안적인 방향을 모색하시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성심성의껏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서 론Ⅱ.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개발되어온 역사
1. 행정구역 변경 역사
2. 비전양천 2012
3. 복지 및 환경과 교통 개발
4. 양천구 신정 뉴타운
1) 개요
2) 위치 및 사업개요
3) 추진목표
4) 추진경위
5) 주택재개발사업
6) 재정비촉진계획수립(주택재개발2구역)
Ⅲ. 개발이 가져온 이득과 함께 개발로 인해 생겨난 사회문제들
1. 개발 이득
2. 부동산 투기 유발과 사업성 부족 문제
3. 원주민의 재정착율 부족과 세입자에 대한 대책 문제
4. 소형주택의 급속한 멸실 문제와 주택가격 상승 문제
5. 과도한 토지 및 건축물보상요구, 과다한 개발밀도
6. 사업 추진 프로그램의 부족
Ⅳ. 대안적인 방향을 모색
1. 새로운 유형의 뉴타운 사업 방식의 개발 필요
1) 정주여건과 사업 환경을 조성
2) 공공시설 복합화
3) 시범단지로서 조성
4) 지자체와 주민, 공동체, 공사가 함께 공동으로 참여
2. 공간구조의 개편을 고려한 생활권 단위의 개발 추진
3. 공공지원과 개발이익 환수 제도의 연계
4. 단계적 개발과 순환개발
5. 저렴한 주택과 임대주택의 최대 수용
6. 개발이익환수제도 조기도입과 분양원가 공개
Ⅴ.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Ⅰ. 서 론예전 사람들은 이동을 하지 않고 한 곳에 머물러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번 태어나면 그곳에서 계속 머물러 살게 되고, 그러므로 현대 인간의 잣대로 본다면 답답한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동을 많이 하는 현대인간의 잣대에 의해서만 그렇게 평가될 뿐이며, 당시의 사람들은 결코 그것을 답답하다고 느끼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생활 속에서 하루하루를 의미가 있게 살아나갔을 것이다. 또한 한 곳에 오래 머물러 살게 되는 만큼 자신의 환경에 대해서 현대인보다도 더 큰 의미부여를 하였을 것이고, 그런 의미부여를 통해서 다양한 신앙과 놀이, 이야기를 만들어 냈을 것이다.
내가 살고 있는 양천지역을 살펴보면 바위가 없는 야산이 대부분이라는 특징을 쉽게 찾아낼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이곳에는 바위가 있다는 그 자체만으로 특별한 관심을 끌 수가 있었을 것이며, 이러한 관심은 그 바위에 다양한 이야기를 첨가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신정 3동과 고척동 사이의 야산 정상에 있었던 우렁바위 전설은 이런 과정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렁바위는 옛날에 이 바위가 울었다는 전설을 지닌 바위로서 길마(소 등받이)처럼 생겼다 하여 길마바위라 부르기도 했다. 이 바위는 이 지역 주민들에게 두고두고 재미있는 이야기 소재를 제공함으로써 지루한 하루하루를 달랠 수도 있게 만들었을 것이고, 지역 주민에게 자신의 마을을 상징하는 존재로서 작용함으로써 소속감을 가지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지금은 취수공사로 인하여 7년 전에 산의 정상에서 지금의 자리로 옛 모습 그대로 옮겨 놓은 상태에 있다.
우리 양천구의 뿌리는 고구려 시대에 제차파의현으로부터 불려지기 시작하여 통일신라 경덕왕 16년(757년)때는 공암현이라 변경이 되어 율진군(부천군의 옛이름)에 속하였었고, 그 후 고려 성종 14년에 영토를 5도로 나누어서 양광도에 귀속하였다가 현종 9년(1018년)에 공암현을 수주군(부천군의 옛이름)에 속했다.
참고 자료
청계천, 청계고가를 기억하며l 서울학 모노그래프 3. 송도영, 전우용, 오유석, 진양교, 강우원, 김기호, 송인호(지은이), 마티, 2012-05-01보이는 용산 보이지 않는 용산l 서울학 모노그래프 2 김한배, 송도영, 조경진, 김일태, 서우석, 양승우(지은이), 마티, 2012-01-09
역사적 유산의 보존. 활용과 마을 만들기. 고토오사무, 오카와나오미, 우메즈아키코(지은이), 충남발전연구원(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012-10-10
우리, 마을 만들기. 황희연, 박재길, 이영범, 김도년, 김은희, 김기호, 김세용, 박소현, 안현찬, 이윤석, 장옥연, 허윤주(지은이), 나무도시, 2012-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