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의 복식
- 최초 등록일
- 2013.03.06
- 최종 저작일
- 2012.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유교문화의 발달과 예복제도의 정비
2. 왕의 제복과 조복
3. 왕의 상복
4. 백관의 조복과 제복
5. 백관의 공복과 상복
6. 남자의 편복포, 액주름과 답호
7. 왕실과 상류층 여자들의 예복, 국의와 노의, 장삼
8. 여자의 단령
본문내용
유교문화의 발달과 예복제도의 정비
- 조선은 통치 이념을 유교로 삼아 예가 법의 기준이자 생활규범
- 복식은 유교의 예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
- 의례를 행할 때에는 반드시 격식에 맞는 의복과 관모를 갖추어야 했음
- 영조27년 세손의 장복을 제정하기 위해 국조속오례의보 와 국조속오례의보서례 편찬
- 조선의 왕실과 관리의 예복은 외교정책의 일환으로써 중국의 제도를 수용
- 조선 전기에는 명나라에서 들어온 그대로 의복을 착용. 명이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선 후에는 청의 제도는 수용하지 않고, 조선 전기에 들여온 예복을 우리식으로 바꾸어 착용
- 복식에 있어서 중국의 영향은 왕과 왕비를 비롯한 왕족과 종친, 문무 백관들의 공식적인 예복에 국한, 대부분의 일반백성들은 이전시대부터 계승된 고유양식의 복식 착용.
왕의 제복과 조복
- 왕이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지낼 때, 선농제와 기우제를 지낼 때의 제복 또는 책봉을
받거나 가례를 올릴 때 등 가장 중요한 의례의 대례복으로는 면복을 착용
- 면복은 면류관, 곤복으로 구성
- 면류관 : * 모부 위에 앞은 둥글고 뒤가 네모진 직사각형의 판
* 판의 앞뒤에 옥구슬을 꿰어 늘어뜨린 류가 특징
(류는 사악한 것을 분간하라는 상징적 의미)
* 면판의 양쪽 귀 부분은 간언을 분간해 들으라는 충이라는 옥구슬을 늘어뜨림
- 곤복 : * 의와 상을 기본으로 함. 밑받침 옷인 중단을 입고 대대와 혁대를 두름
* 앞쪽 허리 아래에 폐슬, 양옆에는 패옥, 뒤쪽 허리 아래에는 수를 늘어뜨림
* 버선인 말과 예복용 신발인 석을 신고, 손에는 규를 들음
* 제복으로 착용 시에는 흰색의 방심곡령을 갖춤
* 곤복의 가장 큰 특징으로 황제나 왕이 갖추어야 될 덕목을 무늬로 표현한 장문
* 장문의 수는 면류관의 류의 수와 더불어 계급의 차를 표시
* 조선의 왕들은 중국의 친왕에 준하는 구류면 구장복을 착용
* 의는 검은색 홑옷, 깃과 여밈·도련·소맷부리에 검은선을 두름
어깨 양쪽에 용무늬, 뒤쪽 소맷부리에는 위에서부터 불꽃, 꿩, 종이가 각각
세 개씩 그려져 있는데, 오른쪽은 호랑이 왼쪽에는 원숭이가 있음
등에는 산무늬가 그려져 있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