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1Ⅱ. 사회권의 개요 3
1. 사회권의 개념 3
2. 사회권의 역사적 관점 5
3. 사회권 관련 분야 8
Ⅲ. 사회보장권의 개요 11
1. 사회보장권의 개념 11
2. 사회보장권의 법적 성격 12
3. 사회보장권의 내용 14
Ⅳ. 사회권에서의 사회보장권 17
본문내용
Ⅰ. 들어가기20세기 후반 사회과학계의 최대의 화두는 세계화이다. 특히 대외개방의 정도가 확대되고, 국가 간의 경제적 경계가 사라지며, 초국적 금융자본이 전 지구를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 현상이 그것이다. 이러한 세계화의 진전과 특히, 완전고용 노동시장과 보편적인 국가 최저선을 중핵으로 하는 사회보장 체계도 커다란 동요 현상을 보이고 있다.1)
현재 우리사회는 급격한 경제?사회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먼저 경제와 산업부문에서의 개방화는 노동의 대이동을 불가피하게 하며, 이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저임금과 고용불안의 확산은 소득분배구조를 악화시키고 많은 시민을 빈곤으로 내몰고 있으며, 인구?가족구조의 변화는 전통적인 사적 안전망을 약화시키고, 노인, 장애인, 아동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를 심화시키고 있다.2)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우리사회가 시민들의 사회권3)을 보장하기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권 보장은 자유권적 기본권과는 달리 사회적 합의가 매우 중요하다.
< 중 략 >
사회권의 제도의 한계와 함축으로 인해 탈상품화가 20세기 사회권을 지적하고, 사회권의 개념을 탈상품화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다시말해 사회권이란, 노동자가 자신의 생존을 위해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도 일정 정도 생존을 영위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탈상품화란 다시 말해, 시장에서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하지 않으면 생존이 위협을 받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다양한 수단을 통해 노동자가 시장에서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하지 않고서도 생존을 지속시켜 줄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의미한다.39) 결국 사회권은 절차적인 차원이나 형식적인 차원에서 모무는 권리가 아니라 물질적 자원의 동원이나 재분배를 내포하고 있어 항상 쟁론의 대상이 되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권은 자본주의의 근본적 권리이자 제도적 토대인 경제적 권리, 즉 사유재산의 권리와 충돌하게 되며, 어떤 형태로든 시장의 작동의 결과를 시장 외적인 원리와 권력에 의해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조치를 함축하고 있어 시장의 원리를 바탕으로 축적된 물질적 부와 가치의 재분배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공정원(2006).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권 보장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국가인권위원회(2007).「사회권포럼 자료집」.
국가인권위원회(2009),「경제위기와 사회권」, 사회권심포지엄.
국제법률가위원회(2009),「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의 사법집행: 사법심사가능성 비교연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정책본부 인권연구팀.
권영성(2002).「헌법학원론」, 서울: 박영사.
김영삼, 전광석, 김광수(2000),「사회보험법의 헌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헌법재판연구 제11권, 서울: 헌법재판소.
노대명(2007).「사회권 개념의 한계와 극복 방안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사회권포럼자료집.
문진영 등(2008). 「사회권 지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인권위원회.
박시종(2007).「사회권 개념의 한계와 극복 방안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사회권포럼자료집.
신섭중 등(1999).「한국사회복지법제개설」, 서울: 대학출판사.
신영전(2011).「사회권으로서의 건강권: 지표개발 및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안치민(2006). 「사회권의 성격과 사회권 보장」, 한국사회복지학, 58(4), p.371-392.
이경주(2002).「사회적 기본권과 민주주의: 사회보장수급권을 중심으로」, 민주법학, 제21호.
이광호(2002). 사회보장권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헌석(1998).「사회보장수급권과 사회보장청구권」, 공법연구 제26집 제1호.
이호룡(2000). 사회보장행정법의 법리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정근(2007).「헌법과 사회적 기본권」, 한국정치평론학회, 현대사회와 정치평론 제1권.
장은주(2006).「사회권의 이념과 인권의 정치」, 사회와 철학, 12, p.187-216.
전광석(1992).「빈곤문제와 법학의 과제: 헌법과 사회보장법을 중심으로」, 법과 사회 제5권, 서울: 연세법학회.
전광석(1996).「사회보장청구권-사회보장기본법의 제정과 관련하여」, 고시계, 4.
전광석(1998).「헌법50년과 사회보장법의 발전, 한국법학50년-과거, 현재, 미래, 서울: 한국법학교수회.
채우석(2001).「사회보장권과 행정상의 권리구제」, 토지공법연구, 제14집, 서울:한국토지공법학회.
허영(2004).「한국헌법론」, 서울: 박영사.
홍성방(2005).「헌법요원」, 제4판, 서울: 신영사.
Marshall, T.H.(1950).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and Other Essay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rshall, T.H., and Bottomore, Tom.(1992).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London: Pluto Press.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장애 관련 기관 웹사이트 탐방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