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산업 조직에서의 인재상과 변혁적 리더십의 관련성
- 최초 등록일
- 2013.03.04
- 최종 저작일
- 2010.12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조직심리학 레포트, A+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3
Ⅱ. 본론 4
1.지식산업의 특징 4
2.경영환경의 변화와 리더십의 중요성 5
3.국내 대기업의 21C 인재상 분석 5
4.변혁적 리더십 7
4-1)개념적 특성 9
4-2)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인 9
5.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에 대한 연구 및 사례 9
Ⅲ. 결론 13
Ⅳ. 참고문헌 15
본문내용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일까요? 10년 성장은 기술과 시스템으로 가능하지만, 100년 성장은 사람을 통해 가능 합니다.”
최근 ‘사람이 미래다’라는 주제로 TV전파를 타고 있는 두산그룹 광고의 문구이다. 사람의 성장이 사업의 성장을 이끈다는 철학으로 인재확보와 육성을 하겠다는 기업철학이 담겨있다. 이는 오늘날 경영 환경의 변화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요즈음은 누가 뭐래도 지적자본이 중심을 이루는 시대이다. 21C 사회의 키워드가 정보화라는데 많은 학자들이 공통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서 권력의 원천이 정치력이나 군사력 같은 무력에서 경제력과 기술력과 같은 금력으로 이전하였으며, 금력은 다시 정보력·창조력과 같은 지력으로 옮겨 오고 있다.
<중 략>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매출액 상위 50대기업 중 43개사를 대상으로 각 기업의 인재상에 포함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국제감각·역량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와 ‘창의적·창조적’ 인재가 인재상에 포함된 기업이 응답률 58.1%로 5곳중 3곳 정도로 가장 많았다고 한다. 다음으로 ‘도전정신’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는 기업도 51.2%로 절반정도로 많았고, ‘전문성·전문가’(48.8%)를 요구하는 기업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뒤이어 △조직력·협력·협조·팀웍 (25.6%) △혁신적 사고 (25.6%) △열의·열정 (23.3%) △도덕성·윤리의식(20.9%) △인간미·친화적·인화 (20.9%) △책임감 (20.9%) 있는 인재 순으로 추구하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 략>
따라서 인력개발팀은 리더십 관련 정보나 지식을 지식공유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s)을 통해서 리더십 개발활동을 지원해줄 수 있지만 리더십 개발활동에 결정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살아 있는 정보, 특정 상황적 맥락이 결탁된 정보, 특정 개인만이 보유하고 있는 암묵지(Tacit Knowledge), 즉 자기는 분명하게 알고 있지만 쉽게 개념화시켜 상대방에게 표현하기 어려운 지식은 지식공유 시스템을 통해서는 절대로 공유될 수 없다.
이러한 암묵지는 지식공유시스템을 통해서 절대로 공유될 수 없다.
참고 자료
윤영, 「정보사회에서의지식산업」,『인문과학연구논총 』Vol.18(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8), 347-360(14쪽)
유영만, 「리더십 패러다임의 전화과 새로운 리더십 개발전략의 탐색」,『Andragogy Today :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제2권 제2호(한국성인교육학회, 1999), pp.151-180
성연광, 「삼성전자, '도전과 창의적 인재 뽑아요'」,『머니투데이』2010년 10월 20일자
김종현,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몰입간의 간접효과 입증」,『제주일보사』2008년 12월 16일자
민지희, 「대기업 인재상 공통 키워드, ‘글로벌’ & ‘창의’ 」,『케이모바일』
양종구, 「변혁적 리더십이 강팀 만든다」,『동아닷컴』2009년 2월 20일자
지영호, 「국민 신뢰 얻지 못한 변혁은 실패한다」,『머니위크』2008년 6월 3일자
박미성,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동아대 경영대학원, 2009). 32~33면
박광철, 「리더의 감성지능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부하의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