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Market 개요
1. 음악시장 유통형태와 수익구조
2. 디지털 음악시장 Value Chain
3. 디지털 음악 유통 Platform
Ⅱ. Melon의 Service 경쟁력 분석
1. Marketing 전략
2. Sourcing 전략
3. Market Entry 전략
Ⅲ. Melon의 성공 시사점
Ⅳ. Appendix
본문내용
Ⅰ. Market 개요
1. 음악시장 유통형태와 수익구조 : 오프라인 시장의 몰락과 온라인 시장 지속성장
-오프라인 시장규모는 800억 / 온라인 시장규모는 6,200억 (2011년 기준)
-오프라인 시장은 물류 및 재고 부담으로 온라인에 비해 유통채널 복잡 (고비용/저마진 구조)
-온라인 시장의 경우 저작권관련 원가구성 50% 수준 (향후 지속적인 비중확대 예상)
2. 디지털 음악시장 Value Chain : 기업(Player)의 전문화+대형화+글로벌화 진행
-대기업군 중심으로 종합음악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축 (기획->제작->유통 수직계열화 추진)
-전문제작군의 경우 경쟁력 있는 자사 저작권 협상력 제고를 위해 유통전문 합작법인(KMP) 설립
-사업자별 음원확보 경쟁력 차이가 수익성에 결정적 영향, 안정적 음원확보가 가장 큰 이슈
3. 디지털 음악 유통 Platform : 국제시장(소유->사용), 국내시장(사용->소유) 추이
-글로벌 시장의 경우 기존 다운로드 위주의 유통 Platform에서 광고기반 무료 스트리밍 방식의 유통 Platform 비중이 확대되어 가는 상황
(예 : Spotify_영국, Deezer_프랑스, We2 등 초기 고객확보를 위한 대량 자본 선투자, 현재 마이너스 수익구조)
-국내 주요 디지털 음원유통 업체의 경우 모든 형태의 유통 플랫폼을 보유 및 서비스하고 있으며 합법적 유료 음원 서비스 시장 확보를 위해 월정액 무제한 스트리밍 방식 렌탈 Platform에 주력
-13년부터 음원사용료 징수 규정 개편으로 저작권 사용료율이 큰 폭으로 인상되어 수익성 확보를 위해 다운로드 방식의 판매 Platform 강화
(예 : KT뮤직의 Genie : I-Tunes 방식의 (3:7) 수익배분 적용 및 글로벌 50개국 진출)
참고자료
· 세계 디지털 음악시장의 유통과 수익구조 분석_ KOCCA Focus 2012-6호
· 2011 음악산업 백서 : 국내/외 음악산업 동향, 정책동향_한국콘텐츠 진흥원
· SK 텔레콤 Melon 우수 사례소개_서울대 김상훈 교수(2006년)
· 온라인 음악시장의 변화와 향후 전망_정보통신 정책연구원 이은민 연구원(2011년)
· 음악산업에 있어 성공 비즈니스 모델 SK 멜론_성균관대 유필화 교수(2006년)
· 인터넷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 멜론의 마케팅 성공요인과 차세대 프로모션방안
· 멜론(로엔엔터테인먼트), 올레뮤직(KT뮤직), 소리바다 공시자료_금융감독원 전자공시(2012년 3Q)
· 국내디지털 음악시장의 발전방향_엠넷미디어 조동춘 팀장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