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상의 퀄리티 자부합니다. 어디 내도 만점 과제물. 참고용으로도 좋아요.
목차
1. 들어가며 1
2. 연구의 방향과 목적 1
3. 고전소설 속 조선후기 2
3. 1. 「춘향전」의 허와 실 3
3. 1. 1. 춘향 4
3. 1. 2. 이몽룡 5
3. 1. 3. 변학도 6
3. 2. 「허생전」과 박지원의 꿈 8
3. 2. 1. 「허생전」과 조선후기 경제 9
3. 2. 2. 「허생전」과 북벌론 11
3. 3. 「장화홍련전」과 조선후기 가정(家庭)의 모습 11
3. 3. 1. 「장화홍련전」과 계모(繼母) 12
3. 3. 2. 「장화홍련전」과 유교적 가부장제 13
3. 4. 「배비장전」과 신참례(新參禮) 15
4. 나가며 17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조선 후기는 한국사에 있어서 격동의 시대였다. 사상, 정치, 문화, 경제 등 사회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방면의 변화가 이루어져왔고, 그러한 흔적들이 다양한 방법과 모습으로 현재 우리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우리가 역사라는 실상에 접근하는 방법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과거 그 시대와 그 시대를 살아갔던 사람들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우리가 인식하고 배우고 연구하는 역사의 그 모습은 결국은 단면들일 수밖에 없다. 그 총체를 온전히 이해하고 다가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혹자들은 역사는 끊임없이 재해석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변명이 될 수는 없다. 분명히 실제로 존재했지만 또 한편으로 그것을 완벽히 재구성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다면적이고 다각적인 시각과 방법으로 그 본질에 다가가는 것이야말로 역사를 이해하는데 가장 올바른 방법이다.
<중 략>
이러한 신참례의 폐단을 막고자 「경국대전」에는 ‘신래를 침학(侵虐)하는 자는 장(杖) 60에 처한다’는 규정을 명문화했지만 신참례의 습속을 막을 수는 없었다. 「배비장전」의 주요 소재가 신참례인 것을 보면 이러한 풍습이 사회 저변에 강하게 정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참례는 새로운 구성원이 빠른 시일 내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도 아니다. 그러나 그것이 과도하게 적용될 때는 문제가 생기게 마련이다. 조선시대에 신참례의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된 것은 그것이 지나치게 가혹해 신참들을 새로운 문화나 공간에 적응하게 하기는커녕 거부감부터 갖게 했기 때문이다. 「배비장전」은 바로 이러한 신참례 문화의 폐단을 지적하며, 기존의 발치설화(拔齒說話)나 미궤설화(米櫃說話)와 같은 것들을 결합시켜 해학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는 관료사회 내의 경직된 사고에 대한 비판과, 또 이러한 부패한 관료사회를 바라보는 민중들의 시각이 잘 드러나 있다고 생각된다. 오늘날 까지도 이러한 신참례 문화가 이어지고 있음을 생각해 보면, 판소리와 소설을 통해서 배비장의 이야기를 향유했던 민중들에게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송성욱(풀어옮김), 〈춘향전〉, 민음사, 2004
신병주?노대환,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 돌베개, 2002
안치경, 〈한국 대표 고전 소설선〉, 번양사, 1993
이민희, 〈조선의 베스트셀러〉, 프로네시스, 2007
이상택 외, 〈한국 고전소설의 세계〉, 돌베개, 200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5
권내현, 「〈춘향전〉-이몽룡을 통해 본 조선의 양반관료」, 역사비평, 2003
윤진영, 「조선시대 관료사회의 신참례와 계회도」, 역사민속학, 2004
이 욱, 「허생전과 조선후기 상업의 발달」, 역사비평, 2001
정연식, 「춘향전-가공의 현실에 투영된 꿈」, 역사비평, 2004
정지영, 「장화홍련전-조선후기 재혼가족 구성원의 지위-」, 역사비평,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