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작가,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갈등양상, 김동리 소설 무녀도 줄거리, 김동리 소설 무녀도 작품성격, 김동리 소설 무녀도 작품분석, 김동리 소설 무녀도 작품해제
- 최초 등록일
- 2013.02.24
- 최종 저작일
- 2013.0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개요
Ⅱ.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작가
Ⅲ.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갈등양상
Ⅳ.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줄거리
Ⅴ.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작품성격
Ⅵ.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작품분석
Ⅶ.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작품해제
1. 인물
1) 모화
2) 욱이
3) 낭이
2. 주제
3. 배경
4. 시점
1) 외부이야기
2) 내부이야기
본문내용
Ⅰ. 개요
토속적이고 신비적인 세계, 즉 샤머니즘적 세계야 말로 김동리가 일생의 창작에 걸쳐 추구하고 구현하고자 한 중심 문제이면서 동리다운 소설적 세계의 본령이다. 무녀도만이 아니라 역마가 그러하고 그의 역작인 을화 또한 그러하다. 역시 동리적인 작품은 무녀도 계열이다. 1939년 유진오와 논쟁에서 비롯하여 해방공간에서의 김동석과 김병규와의 논쟁을 거치면서 마침내 자기 문학관을 확립해 갔는데, 일제시대의 경향파 소설과 해방 후 좌파의 인민성과 당파성 이론에 대항하여 주장한 순수 문학론은 “제3휴머니즘”과 “구경적 생의 형식” 으로 요약된다.
제3휴머니즘론이 민족적 방식의 인간성 옹호라면 구경적 생의 형식은 철학과 종교를 포괄하는 절대적 최고 경지의 사상으로서 문학정신을 의미한다. 새로운 신과 인간성의 옹호가 구경적 생의 형식에 이르기 위해 김동리는 매개적 통로로 샤머니즘적 세계를 주목하였다. 그의 순수 문학론은 더 이상 구체성을 띠지 못하고 “실천 매개의 가능성이 결여”되어 있지만 소설창작에서 이 매개의 가능성을 샤머니즘에서 찾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동리는 샤머니즘을 열등종교의 한 형태인 미신으로 인식하거나 샤머니즘 자체에 대한 열광이라기보다 인간과 현세 중심과 그러면서도 신과 인간이 통하고 내세와도 통하는 우주와의 조화에 이르는 가능성의 세계로 여겼다. 그것은 작게는 좌파의 기계적 유물론의 대타의식으로서 민족문학과 인간성 옹호의 얼굴을 가지며, 크게는 비평론의 중심인 구경적 생의 형식에 이르는 길이기도 하다.
김동리의 기독교와의 대결의식은 무녀도에서 직관적으로 형성되었고 순수 문학론을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논리를 가지게 된다. “안으로는 민족의 근원적인 얼과 넋”이며 밖으로는 “세계적 과제에 도전” 으로서의 샤머니즘을 “가장 날카롭게 미신으로 몰아부친 기독교”와의 대결은 거의 필연적이다.
Ⅱ.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작가
김동리 소설을 읽는 사람은 누구나 그의 작품의 많은 부분이 민속적이고 토착적인 소재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 나타난 황토색 짙은 이러한 소재와 풍경이 지니고 있는 참된 뜻을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참고 자료
김소연, 김동리 무녀도의 개작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김정숙, 기호학적 시각으로 본 김동리의 무녀도 분석, 경남대학교, 1995
소순회, 김동리의 무녀도에 나타난 샤머니즘 연구, 원광대학교, 1992
서지현, 김동리의 무녀도에 나타난 문학적 상징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1981
이애니, 김동리의 무녀도와 을화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2005
허왕봉, 김동리의 무녀도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