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김기림][시인 김기림 작품연구][시인 김기림 작품 기상도][바다와 나비]시인 김기림 생애, 시인 김기림 작품연구, 시인 김기림 작품 기상도, 시인 김기림 작품 바다와 나비
- 최초 등록일
- 2013.02.23
- 최종 저작일
- 2013.0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시인 김기림][시인 김기림 작품연구][시인 김기림 작품 기상도][바다와 나비]시인 김기림 생애, 시인 김기림 작품연구, 시인 김기림 작품 기상도, 시인 김기림 작품 바다와 나비
목차
Ⅰ. 서론
Ⅱ. 시인 김기림의 생애
Ⅲ. 시인 김기림의 작품연구
1. 기존논의 검토
1) 최재서(崔載瑞) : 『문학과 지성』(인문사. 1938)
2) 김동석(金東錫) : ‘금단의 과실’ 『예술과 생활』(박문출판사. 1948)
3) 김춘수(金春洙) : 『한국현대시형태론』(해동출판사. 1958)
4) 서정주(徐廷柱) : 『한국의 현대시』(일지사. 1965)
5) 김우창 : ‘한국시와 형이상’『궁핍한 시대의 시인』(민음사. 1977)
6) 김윤식 : ‘모더니즘의 한계’ 『한국근대작가논고』(일지사. 1978)
7) 박철희(朴喆熙) : ‘한국현대시와 그 서구적 잔상’『한국시사연구』(일조각. 1980)
8) 문덕수(文德守) : 『한국 모더니즘 시연구』(시문학사. 1981)
9) 오세영 : ‘네오클래식의 시’ 『20세기 한국시 연구』(새문사. 1989)
2. 작품의 연구방법
3. 작품분석
1) 시의 형식적 측면과 구도
2) 태풍의 상징적 의미
3) 『세계의 아침』내용파악
4) 장시의 필요성 인식
5) 모더니즘의 두 가지 부정
6) <기상도>와 <황무지>의 비교
Ⅳ. 시인 김기림의 작품 기상도
1. 기상도를 쓰게 된 동기
2. 기상도의 구조
3. 기상도」
Ⅴ. 시인 김기림의 작품 바다와 나비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908-? 시인, 문학 평론가, 영문학자. 호는 편석촌(片石村). 함경북도 출생. 니혼대학(日本大學)문학 예술과를 거쳐 도호쿠 대학(東北大學)영문과를 졸업하였다. 귀국하여 경성중학교에서 영어와 수학을 가르쳤으며 《조선일보》학예부장을 지냈고, 1993년 구인회의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1946년 1월 공산화된 북한에서 월남하였는데, 이때 많은 서적과 가재를 탈취 당해 곤궁한 나날을 보냈다. 좌익계 조선 문학 동맹에 가담하였고, 1946년 2월 제1회 조선문학자대회 때 ‘우리 시의 방향’에 대하여 연설 하였으나, 정부수립 전후에 전향하였다. 월남 후 중앙대학, 연희대학 등에 강사로 출강 하다가 서울대학교 조교수가 되고, 그가 설립한 신문화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다. 6.25전쟁 때 납북되어 북한에서 죽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시기는 알 수 없다.
<중 략>
이 시는 전체적으로 ‘바다’와 ‘나비’라는 전혀 대조적인 두 이미지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이미지는 고도로 절제된 감각으로 인해 시종 차갑고 선명한 윤곽을 이루어 한편의 깔끔한 그림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1연의 “아모도 그에게 수심을 일러준 일이 없기에 힌 나비는 도모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라는 표현 속에서 ‘힌 나비’의 움직임을 객관적 입장에서 관찰하고 있는 화자의 시선을 느낄 수 있다. 이 시가 유발하는 긴장미는 두 이질적 이미지의 결합에서뿐 아니라 이와 같은 시인의 사물 인식의 태도로부터 연유하고 있는 것이다.
2연에서는 ‘바다’라는 거대한 세계에 홀로 도전하는 ‘나비’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여기에서 ‘나비’는 ‘바다’를 청무우밭 정도로 알고 있을 만큼 어리고 무지하게 그려지고 있는데,‘어린날개’,‘공주’ 등의 시어가 각각 ‘저러서’,‘지처서’ 등과 결합하여 더욱 애처럽고 위태로와 보이게 하는 효과를 더해 준다.
시인은 마지막 행에서 ‘새파란 초생달’이라는 날카로운 이미지를 갸냘프고 민감한 ‘나비 허리’와 병치시켜 ‘시리다’로 표현함으로써 한기를 발산하는 듯한 감각적 비애의 극치를 이루어 내고 있다.
참고 자료
김예리,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한국현대문학회, 2010
김진희, 김기림 기행시의 인식과 유형, 한국현대문학회, 2008
소래섭, 김기림 시론에 나타난 명량의 의미, 한국문학언어학회, 2009
이근화, 김기림 시어의 혼재 양상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11
윤지영, 김기림 초기작의 시선과 목소리, 한국문학회, 2009
이미순, 김기림의 시에 나타난 기차의 의미, 개신어문학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