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시가문학)와 삼국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고려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조선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고전시가,근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사대부시가,국문시가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2.23
- 최종 저작일
- 2013.02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소개글
시가(시가문학)와 삼국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고려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조선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고전시가,근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사대부시가,국문시가 분석
목차
Ⅰ. 시가(시가문학)와 삼국시대시가
Ⅱ. 시가(시가문학)와 고려시대시가
Ⅲ. 시가(시가문학)와 조선시대시가
Ⅳ. 시가(시가문학)와 고전시가
Ⅴ. 시가(시가문학)와 근대시가
Ⅵ. 시가(시가문학)와 사대부시가
Ⅶ. 시가(시가문학)와 국문시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시가(시가문학)와 삼국시대시가
삼국시대의 문학에 대해 남북의 문학사가 보이는 공통점은 풍부한 시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나 남아 있는 자료가 매우 적다는 것을 아쉬워하는 점이다. 그런데, 빈약한 자료 속에서도 새로운 노래를 찾아내어서 노래에 맞는 시대를 배정하려는 노력은 남쪽보다 북쪽이 앞선 것으로 보인다. 남쪽의 문학사에서는 내용은 전하지 않고 노래의 명칭만 남아 있는 삼국시대의 시가들에 대해서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다가 최근의 문학사에서 밀도 있는 해석과 평가를 시도하고 있는데 반해서, 북쪽의 문학사를 보면 빈약한 자료지만 그 자료들을 잘 엮어서 될 수 있으면 삼국시대의 노래를 찾아내려는 노력을 꾸준히 계속해 온 것으로 보인다.
<중 략>
이처럼 독특한 문학사적 배경이 한역시가 출현의 배경이 되었는데 여기에 직접 국문시가를 한역한 인물들의 성향은 한역시가 출현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고위 관직을 담당하거나 산림에 은거하면서 학문과 문학에서 당대를 대표하는 양반사대부들이었다. 전형적인 사대부 문인들의 국문시가 한역은 국문문학과 민족 고유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실재로 <關東別曲>을 한역한 金萬重은 국문문학의 가치에 대한 투철한 인식을 가졌던 인물로 <三藏>, <蛇龍> 등을 부연하여 악부를 지은 바 있고, <思美人曲> <續美人曲>을 한역한 金相肅은 <海東俚謠>라는 이름으로 민요를 수집 한역하였다. 77수의 시조한역가를 남긴 李衡祥은 악학에 대한 깊은 관심과 혜안으로 악학의 원류에 대한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며 수록작품이 가장 많은 <甁窩歌曲集>을 편찬하였고 洪良浩는 민요와 국문시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洪州風謠>, <朔方風謠>, <北塞雜謠> 등의 작품과 함께 한역시가<靑丘短曲>을 지었으며 馬聖麟은 <短歌解>외에 우리 고유의 세시풍속을 다룬 <弄題俗談>14수를 지었고 權用正도 <東謳>외에 <歲時雜詠>를 지었다.
참고 자료
김학성, 고려시대 시가의 장르현상,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3
류해춘,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공감과 소통, 우리문학회, 2012
신창호 외 1명, 삼국유사에 수록된 시가와 배경설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사학회, 2011
신영명, 문학사서술의 방법과 사대부시가의 사적 전개,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1992
정연길, 한국 근대 시가의 변이·기타, 한성대학교, 1992
조해숙, 근대전환기 국문시가의 장르적 변환과 근대성,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