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자의 간호정보
2) 문헌고찰(질병, 해부생리 및 수술 )
3) 수술전 환자 간호사정
4) 수술중 간호기록
5) 수술과정
6) 회복실/마취회복 상태관찰
본문내용
2) 문헌고찰(질병, 해부생리 및 수술 )
정의
자궁경부암 전단계인 자궁경부이형증에서 자궁경부상피내암으로 진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7년 정도이고, 상피내암에서 미세침윤성암으로 진행하는 데는 약 14년이 걸린다. 미세침윤암의 경우에는 진행 속도가 빨라서 육안으로 암이 보일 때까지 약 3년이 걸린다. 이렇게 암 전단계를 거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조기진단이 가능하고 조기에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예방이 가능한 암이다. 주로 45∼55세의 경산부에게 많이 나타난다. 이 암의 발생 평균연령은 0기가 35세이고, 1기 이상은 발생 평균연령이 45세 정도이며, 최근에는 젊은 나이에도 암이 진단되는 경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 질환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전체 암 중에서 4위,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에서는 1위를 차지한다.
<중 략>
5) 수술과정
① 환자 이름을 확인한 후 surgical table에 환자를 supine position으로 눕히고 vital sign, EKG, SPO2, monitoring 시행하였다.
② 흡입마취를 적용한 후 intubation, ventilator, foley keep 하였다.
③ 유방 아래부터 질구까지 포타딘 용액과 알코올을 이용하여 중심에서 바깥부위로 소독하였다.
④ scrub nurse 가 가운을 입고 operator에게 수술용 가운과 장갑착용을 도왔다.
⑤ OP 부위만을 남기고 모두 포로 덮었으며 forcep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suction기, electro surgical unit 을 연결하고 aseptic 한 봉을 surgical lighting에 연결하고 조정하였다.
⑥ pen으로 incision line을 그린 후 incision을 가한 후 bovie (electro surgical unit)로 피부층과 지방층등 방광을 포함한 organ 과 박리시켰다.
- Uterus : woman`s sized, hard & nodular
- cut section : 자궁의 뒷면에 월넛크기의 myoma가 있었다.
- cervix : post Leep 상태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