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사회복지시설을 방문한 후, 그 조직의 설립형태와 서비스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방문소감을 A4용지 2장 내외로 제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3.01.31
- 최종 저작일
- 2013.0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가까운 사회복지시설을 방문한 후, 그 조직의 설립형태와 서비스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방문소감을 A4용지 2장 내외로 제출하시오.
목차
1. 해당 사회복지시설의 역할과 기능
2. 사회복지시설 조직의 설립형태
1) 위치
2) 운영
3) 설립형태
4) 사회복지시설 조직의 서비스 형태
3. 현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상의 문제점
4. 소감문
본문내용
3) 교육지원: 아동의 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학교생활에서 아이들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배움에 대한 의욕과 달리 기회와 자원이 부족한 아동들에게 다양한 배움의 기회를 나눔
(2) 아동결연 및 사례관리사업
1) 위기노출아동사례관리: 지역사회복지사를 파견하여 학대, 방임 등 위기상황에 노출된 아동과 그 가정을 만나 가족기능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하여 아동이 안전한 보호속에서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도움
2) 아동결연사업: 아이들이 희망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아동에게는 실제적인 지원과 격려를 후원자님들에게는 나누는 기쁨과 보람을 이어주는 사업을 실시함
< 중 략 >
4. 소감문
부스러기사랑나눔회의 원칙은 어린이중심, 빈곤현장중심, 후원자 중심을 유지하는 것이다. 부스러기사랑나눔회 모든 정책의 결정은 빈곤아동의 빈곤현실에서 출발한다. 부스러기사랑나눔회는 빈곤현장에서 요청하고 필요로 하는 사업을 기동성 있게 가장 빨리 적극 대응하여 사업을 추진하되 정확하고 명확하고 투명하게 빈곤아동의 권리보장과 빈곤 현장을 중심으로 해결하고자 우선하는 사업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원칙을 유지하고 발전시킨 가장 큰 성과는 방치된 어린이를 위한 탁아방, 놀이방 지원과 공부방, 신나는집에서 출발한 지역아동센터의 정착 확산, 아동복지법 재개정 촉구사업을 통한 국고지원 추동, 1993년부터 시작된 빈곤아동들의 글 잔치를 통해서 문제제기가 된 결손가정문제와 1998년부터 급증한 결식아동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는 ‘가족기능회복을 위한 지역사회복지사 파견사업’등이다. 이러한 성과는 세 가지 원칙을 유지 발전시킨 결과이다. 특별히 참여정부 출범 당시 국민제안센터 개소식 1호 제안으로 부스러기사랑나눔회의 아동들의 정책제안이 접수되어 아동복지법이 재개정되고 법률안 마련 등의 법제화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참고 자료
강명순, 이경림, 김성경 지음,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0
이태수, 김성경, 이경림 지음, 지역아동센터의 현주소, 공동체, 2009
부스러기사랑나눔회(http://www.busrug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