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Guillain-Barre증후군 병태생리
GBS는 말초신경과 뇌신경을 침범하여 급격한 증상을 일으키는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다양한 운동 허약이나 마비가 특징이다.
=급성다발성 신경염
=다발성 척수신경증
면역계의 장애로 란비어결절 사이의 수초가 부분적으로 탈락하여 신경 충동이 전도비약을 일으키고, 질병후기에는 신경전도가 분산되고, 전도속도가 지연되거나 상실되어 점차 상행성 마비로 진행된다.
세포체, 말초신경초 또는 축삭에 2차적 손상이 있으면 회복이 지연되고 영구적 결손이 초래된다.
GBS환자의 경우 항원에 대한 반응으로 신경에 직접적인 독성작용을 일으키거나, 세포성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탈 수초성 항체를 형성하여 수초를 파괴한다.
GB증후군의 3단계 급성과정
1) 시작단계(1~3주): 첫 결정적 증상이 발현되고 더 이상 악화되지 않고 종결된다.
2) 상승단계(수일~2주)
3) 회복단계(4~6개월): 수초와 축삭의 재생이 동시에 나타난다.
2. G-B의 원인과 임상증상, 진단검사
G-B의 유발요인: 자가면역장애, 급성질병, 위장관계질병, 수술, 상기도감염, 바이러스 돼지인플루엔자 등
임상증상: GBS가 발현되기 전에 상기도감염, 위장관계감염등에 노출된 적이 있고, 약 10~21일 동안 비특이적 증상을 보이다가 갑자기 다리가 움직이지 않는 근허약이나 통증이 나타남
일반적으로 의식수준, 대뇌기능, 동공반사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진행정도에 따라 분류
-상행성 GBS: 가장 흔하며, 허약과 감각이상이 하지부터 시작하여 점차 위로 올라와 몸통과 팔 또는 뇌신경을 침범하는 상행성 마비가 나타난다.
-운동성 GBS: 감각증상이 없는것을 제외하고는 상행성과같다.
3. Guillain-Barre의 치료
약물요법
1)혈장분리반출술- 혈장 속의 순환항체, 신경 수초에 대한 독성 물질, 면역병변 요인을 제거하고, 혈액세포 성분은 체내로 다시 돌려주는 방법, 발병1~2주후에 시작
2)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 혈장분리반출법만큼 효과적이고 더 안전하며, 즉시 사용할수있다. 합병증으로 오한, 미열, 근육통, 두통, 비세균성 수막염 등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