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아트의 표현 특성, 표현 기법, 팝아트의 대표적 작가
- 최초 등록일
- 2013.01.22
- 최종 저작일
- 2013.0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팝아트의 개념, 등장 배경, 표현 특성, 표현기법, 대표적 팝아트 작가와 작품분석 등을 조사하였습니다.
목차
1. 팝아트의 개념
2. 팝아트의 등장 배경
1) 추상표현주의의 쇠퇴
2) 앗상블라쥬의 등장
3. 팝아트의 표현 특성
1) 개방성
2) 비개성
4. 팝아트의 표현기법
1) 광고 이미지 활용
2) 만화 이미지 활용
3) 복합매체의 활용
4) 오브제의 활용
5) 사진매체 활용
5. 대표적 팝아트 작가와 작품분석
1) 피터 블레이크(Peter Blake)
2) 앤디 워홀(And Warhol 1930~1992)
3) 클라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
4) 키스 해링(Keith Haring)
【 참고자료 】
본문내용
1. 팝아트의 개념
팝 아트는 1960년대 초기에 미국에서 발달하여 미국화단을 지배했던 구상 회화의 한 경향으로 ‘팝’이라는 명칭은 ‘popular’에서 유래하였으며, 일상생활에 범람하는 기성 이미지인 대중적 이미지에서 제재를 취했던 미술의 경향을 일컫는다. 팝아트는 영국에서 먼저 발생했으나, 서로의 성향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미국과 영국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일어났다고 볼 수도 있다(정광임, 2006).
팝 아트(Pop Art)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영국의 미술평론가 로렌스 앨로웨이(Lawrence Alloway)이며 1954년 당시 앨로웨이가 사용한 팝 아트 또는 팝 컬쳐(Pop Culture)라는 어휘는 일반적으로 대중문화를 소재로 한 미술작품을 지칭하는 지금의 팝 아트라는 용어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그는 집단광고문화(Admass-Culture)에 기인한 `대중미술(Popular Art)`을 지칭하고 위해 편의적으로 이 말을 쓰기 시작했고 이어 1962년 대중적 이미지를 구사하는 순수미술가들의 활동을 논하기 위하여 확대 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중 략>
① Dog
에는 그의 상징적 아기와 동물, 양성 형상들이 상호 연결 또는 조합되어 변형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그 이미지들은 다시 서 있는 개의 내부를 빈틈없이 채우며 하나의 완성된 형상을 이룬다(오재경, 2011).
② Untitled 무제
에는 흥겹게 춤을 추는 듯한 네 명의 임산부가 등장한다. 그들의 머리 위에는 빛을 발하는 아기 형상이 화면 중심에 크게 자리하고 있다. 비록 얼굴에는 아무런 표정의 묘사가 없지만 신나게 춤을 추듯 생동감 있게 표현된 임산부들은 마치 세상에 곧 태어날 새 생명의 탄생에 대해 감출 수 없는 기쁨과 흥겨움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듯하다(오재경, 2011).
③ Untitled 무제
에서는 화면 가득 곡예사들이 마치 뛰고 줄다리기하듯 움직이며 인간 피라미드를 형성한 것처럼 보인다. 붉은 체구가 큰 여성은 팔에 두 명의 작은 광대를 데리고 있고, 파란색 남자들은 싸우듯이 힘차게 줄다리기하고 있다. 화면 하단에 초록색 남자를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인 듯 모든 곡예사를 어깨에 얹고 있다. 각자가 자신의 역할을 맡아 살아 움직이는 모습, 또한 사람들의 이러한 연합과 조화, 움직임이 바로 사회를 의미한다고 키스 해링은 생각했다(오재경, 2011).
참고 자료
알렉산드라 콜로사 저, 김율 역(2006)「키스 해링」마로니에북스
김춘일(1999)「팝 아트와 현대인」서울: 열화당
루시-스미드 저, 김춘일 역(1995)「현대미술의 흐름」미진사
오재경(2011)「팝아트 작가 작품에 나타난 조형적 이미지를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한양대학교 대학원 논문
김남호(2008)「수집을 통한 회화의 재구성」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이윤희(2007)「클래스 올덴버그의 청계천 "스프링"(Spring 2006.9) 작품분석을 통한 도시환경 조각 연구」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논문
신인영(2007)「앤디 워홀(Andy Warhol)을 중심으로 한 팝아트 기법 연구」홍익대 교육대학원 논문
허미자(2006)「팝 아트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창의적인 수업 연구」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한혜진(2001)「大衆媒體를 이용한 앤디 워홀의 藝術的 特性에 관한 硏究」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